[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1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
 2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2
 3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3
 4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4
 5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5
 6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6
 7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7
 8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8
 9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9
 10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0
 11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1
 12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2
 13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3
 14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4
 15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5
 16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6
 17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7
 18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8
 19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19
 20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심리학]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교내 연애와 공부의 실태파악 -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한계점
1-2. 양적 연구 분석
1-3. 질적 연구 분석
2. 성공한 교내 커플
2-1. 성공한 교내 커플의 예
2-2. 성공 요인의 교육 심리학적 접근
3. 실패한 교내 커플
3-1. 실패한 교내 커플의 예
3-2. 실패 요인의 교육 심리학적 접근
3-3. 성공한 교내커플과 실패한 교내커플의 비교
3-4. 실패한 교내 커플의 해결 방법 - 성공으로 가는 길
4. 활용 방안
4-1. 공부짝꿍 지정
4-2. 스터디 그룹의 제도적 활성화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Ⅴ. 부록 - 설문지 첨부
본문내용
Ⅰ. 서론
고려대학교에는 많은 연인들의 손을 잡고 캠퍼스를 누리곤 한다. 그들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웃으며 함께 공부한다. ‘사랑하는 연인이 옆에 있는데 어떻게 공부가 되겠어’라는 말들을 많이 하지만, 오히려 그들은 항상 함께 하기 때문에 공부를 더 잘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물론 공부와 연애가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개인차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애와 학업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은 커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커플도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해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성공한 교내 커플과 실패한 교내 커플들을 심리학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비교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안점이다. 본론의 마지막에서는 교내 연애와 공부의 관계를 확장시켜 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연애와 공부의 실태파악 - 양적 연구 및 질적연구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한계점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애와 공부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도입하기 전에 실태를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논의 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심리학적 근거를 도출해내고자 한 점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의 한계점

① 설문 문항이 미흡하다.
‘학업 성적에 연애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4-1번 문항에서 ‘학업 성적’이 아니라 ‘공부 자체에 대한 영향을 물어보아야 했었는데, 눈에 보이는 성적만으로 제한을 하니 공부는 더 열심히 했지만 성적은 오르지 않은(투입과 산출이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

② 설문 대상이 제한적이다.
제한된 시간에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해야한다는 제약 때문에 고려대학교의 교내 커플로만 그 대상을 한정시켰다는 한계가 있다. 비교적 학력수준이 높은 고려대학교 학생들에 비해 그렇지 않은 교내 커플들의 실태는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참고문헌
임규혁․임웅(1996),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 학지사.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843324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660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0000921438812&cDateYear=2008&cDateMonth=09&cDateDay=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