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

 1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1
 2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2
 3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3
 4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4
 5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나타난 성리학적, 실증적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동사강목』속의 성리학적 성격과 실증적 성격

1) 성리학적 성격

2) 실증적 성격

3. 맺음말

4. 참고자료


본문내용
2.『동사강목』속의 성리학적 성격과 실증적 성격

1) 성리학적 성격
『동사강목』은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을 본받아 강목체 사서로 저술되었다. 본래 강목체 사서는 편년체의 일종이지만 형태와 서술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독자적인 형태이다. 綱 을 국가통치의 대강으로 보고 그 실행을 위한 사례를 目에 다루면서 정통과 진위를 밝혀내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즉, 강목체 사서는 역사가 자신이 속한 왕조의 의리와 명분 및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국사의 체계성· 법통성을 내세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동사강목』이 편찬되던 시대적 분위기를 이해해본다면『동사강목』의 성리학적 성격을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명종 이후 퇴계 이황에 이르러 성리학의 철학체계에 대한 인식이 확립되고 율곡 이이가 나오면서 성리학적 입장에서의 정치철학의 체계를 내세워, 한국의 성리학이 토착화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기준으로 조선 내에서는 심한 당쟁을 겪고 조선 전기 문화에 대한 반성 및 비판의식이 체계적으로 성립되어 나가고 있는 시기였다. 한편 조선 외부에서는 명나라가 청나라에 의해 멸망하여 중국에서의 유학이 종말을 고했다고 본 조선의 유학자들은 유학을 지킬 역사적 사명감이 있다고 인식하여 조선중화주의를 표방하며 성리학적 사회지배질서를 회복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조선 내부와 외부의 변화는 17~18세기에 성호 이익을 거쳐 그의 제자 안정복에게까지 영향을 끼쳤다.『동사강목』의 서문에서 보면 라는 구절이 있다. 제도문물을 상세히 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외의 서술은 모두 성리학적 성격을 띠고 있다. 안정복은 한국사에 있어서 정통의 계승을 단군· 기자조선→마한→(무통 삼국)→문무왕 9년 이후의 신라→태조 19년 이후의 고려→조선으로 보고 있다. 위만이 왕위를 찬탈한 경우와 고려 이전의 궁예의 경우는 도덕적으로 정당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보고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안정복의 성리학적 성격의 정통성에 대한 생각은 『동사강목』외에도 1772년(영조 48) 세자시강원에서 나눈 대화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동궁(훗날 정조)이 남송의 말제에게 정통을 부여한 것에 대해 물어오자 안정복은 그 질문을 받아들이면서 남송의 말제의 일을 남명의 홍광의 일로 연결하여 답하였다. 이는 청
참고문헌
-논문 및 저서
박종기,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고즈읜, 2006
김철준, 『韓國史學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전제현, 유계와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여사제강》과 《동사강목》의 사론을 중 심으로」『한국학논총』제32권,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인터넷
신병주, 〈실학시대의 최고 역사가 안정복과 동사강목〉, 다산연구소, 2007
http://www.edasan.org/bbs/board.php?bo_table=board90&wr_id=108
네이트 백과사전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5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