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

 1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
 2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2
 3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3
 4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4
 5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5
 6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6
 7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7
 8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8
 9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9
 10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0
 11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1
 12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2
 13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3
 14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4
 15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5
 16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6
 17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7
 18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8
 19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19
 20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광문화론]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민족 문화란?

1. 민족문화란 무엇인가
가. 민족문화의 개념
나. 민족문화의 정의
다. 민족문화의 특징

제2절 민족문화 연출과 관광

1. 민족문화 연출의 사례
가. 제주 입춘 굿 놀이
나. 하회 별신굿 탈놀이
다. 피지인의 환대전통
라. 인도네시아 숨바의 빠솔라
마. 중국 먀오족

2. 민족문화 연출의 영향
가. 긍정적 영향
나. 부정적 영향

3. 민족문화 연출의 역할
가. 민족문화의 보존
나. 새로운 문화 창출
다. 민족문화의 이해를 통한 문화상대주의 인정

제3절 민족문화 연출의 필요성

1. 필요성

2. 관광과 민족문화와의 관계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나. 하회 별신굿 탈놀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안동군 풍천면 하회리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다. '하회가면극'이라고도 한다. 약 500년 전부터 음력 정초마다 동민들의 무병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의 서낭신에게 제사지낸 동제였다. 10년마다 대제, 마을에 액이 있거나 특별한 신탁이 있을 때는 임시제를 올렸다 한다. 이때 신의를 기쁘게 하고자 부락 사람들이 광대와 악공이 되어 이 가면극을 연희하였다.
하회별신굿 탈놀이는 지배계층인 양반과 선비의 허구성을 폭로함으로써 계층 간의 관계를 극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중의 파계를 통하여 당신 불교의 타락상과 종교의 허구성을 비판하며, 상민들의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별신굿 탈놀이를 통하여 상민들은 세상살이를 풍자하고, 자신들의 억눌린 감정을 거리낌 없이 마음껏 발산 할 수 있었다. 신분질서가 엄격했던 당시의 사회상으로 볼 때 지배계층의 비판으로 일관된 탈놀이가 하회라는 양반마을에서 양반들의 묵인 하에 또는 경제적인 지원 속에서 연희된 것이다.
상민들은 탈놀이를 통하여 자신들의 억눌린 감정과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며 양반들은 상민들의 비판과 풍자를 통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불만을 해소시켜 줌으로써 갈등과 저항을 줄여 상하간의 조화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별신굿이라는 마을공동체 신앙에 포함되어 연희되던 탈놀이의 과정을 통하여 공동체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계급간의 모순과 갈등의 문제점들이 완충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것이 새롭게 공동체의 기존체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자료: http://blog.naver.com/enzo
[그림 3] 하회 별신굿 탈놀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특징을 살펴보자면
① 굿과 놀이의 총체성이다. 별신굿이 행해지고 탈놀이가 따로 연행되는 것이 아니라 굿의 절차 가운데에 놀이가 포함되어 있어 굿이 곧 탈놀이요, 탈놀이가 곧 굿이다.
② 오랜 전승력을 이어왔다는 것이다. 다른 지방에서 전승되는 탈놀이에 비하여 옛스러운 성격과 모습을 지니고 있어 탈놀이의 귀중한 연구 자료이다.
③ 탈을 만든 기술이나 탈의 조형미가 매우 우수하여 옛 선인들의 문화예술에 관한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④ 다른 지방의 놀이가 대체로 도시적인 환경을 기반으로 발전한데 반해 하회의 놀이는 궁 벽한 농촌을 토대로 전승되어 왔음을 들 수 있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먼저 다른 탈춤의 사자춤에 해당되는 주지싸움으로 시작되어 파계승에 대한 풍자, 지배계급에 대한 조롱과 모욕, 서민의 생활상 등 놀이 내용은 타지방의 것과 별
참고문헌
1)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917600&re=y
2)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440000&re=y
3) 데이코D&S(2007). 2007 한국 축제연감. 진한엠앤비.
4) http://www.encyber.com/search_w/category.php?gd=ed&cd=04&p=1
5)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26.
6)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27.
7) http://ghqls.tistory.com/487
8)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24.
9) 국립민속박물관(2001). 21세기민속박물관의 발전방향과 과제. 국립민속박물관, 39-43.
10) 정만영(2007). 택견의 전승 상황과 발전적 계승방안 연구. 안동대 대학원 민속문예전공 석사학위논문, 78.
11) 정만영(2007). 택견의 전승 상황과 발전적 계승방안 연구. 안동대 대학원 민속문예전공 석사학위논문, 78.
12) 정만영(2007). 택견의 전승 상황과 발전적 계승방안 연구. 안동대 대학원 민속문예전공 석사학위논문, 78-79.
13)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2.
14)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27-229.
15) http://100.naver.com/100.nhn?docid=73430
16) http://100.naver.com/100.nhn?docid=46624
17) http://cafe.naver.com/town391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12
18) http://jejuhistory.com
19) http://blog.naver.com/enzo
20) http://cyimg30.cyworld.com/common/file_down.asp
21) http://blog.naver.com/koara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