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

 1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1
 2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2
 3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3
 4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4
 5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5
 6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6
 7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화기 교육(근대적 교육)의 시대적 구분
2. 등장 배경
3. 신교육의 발단
4. 신교육의 발달과정
가. 갑오개혁과 교육개혁
나. 근대학교의 설립

1. 등장 배경
2. 교육의 통치 수단화
3. ‘조선교육령‘
가. 제1차 조선교육령 (1911~1922)
나. 제2차 조선교육령 (1922~1938)
다. 제3차 조선교육령 (1938~1943)
라. 제4차 조선교육령 (1943 ~ 194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조선교육령‘
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의 근간
 36년간의 지배기간 중 네 차례에 걸쳐 제정․공포
가. 제1차 조선교육령 (1911~1922)
① 시대적 상황
경제적: 식민지 수탈의 기초 사업을 전개
정치적: 무단통치
② 목적: 제국신민(帝國臣民)화⇨ 제2조.“교육은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적합하게 함을 기해야한다.” 제5조.“보통교육은 보통의 지식과 기능을 교수하고, 특히 국민된 성격을 함양하 며, 국어를 보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제도적 조치
수업연한 단축
실업교육 강화
일본어 교육 강화
나. 제2차 조선교육령 (1922~1938)
① 시대적 상황
정치적: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 중국침략준비
② 문화통치
기만적이고 허구적
관제 개정
교원의 제복과 대검 폐지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 부분적 허용
한국인의 교육 기회 확대
③ 제도적 조치
수업연한 다시 연장
종래 학교에서 폐지되었던 한국어가 필수과목
한국인과 일본일과의 공학(共學)을 원칙으로 동등하게 교육
사범학교와 대학 설치의 길을 마련
실업교육, 전문교육, 대학교육은 일본의 제도를 따름
⇨하지만, 실제로는 일제의 동화정책과 차별정책 기조 안에서 이루어졌다
다. 제3차 조선교육령 (1938~1943)
① 시대적 상황
경제적: 한국의 병참기지화에 주력
정치적: 태평양전쟁, 민족 말살 정책
② 목적
국체명징(國體明徵), 내선일체(內鮮一體), 인고단련(忍苦鍛鍊)이라는 3대 교육방침 하에 한국인에 대한 황국신민화를 강행함으로써 전시체제 확립
③ 제도적 조치
한국인을 위한 학교와 일본인을 위한 학교의 명칭을 동일하게 통일
보통학교를 4년제의 소학교로 존속시키고 점차적으로 6년제로 늘림
기존의 한국인과 일본인의 교육을 담당하는 학교를 구별했으나 신설학교는 상치되지 않는 한 공존을 고려했다.
사범학교는 종래에 일본인을 위한 소학교교원 양성기관과 한국인을 위한 보통학교교원 양성기관으로 분립되어 있었으나 하나로 통합했다.

참고문헌
손인수, 「한국교육사연구」, 문음사, 1998
윤 완, 「한국교육사의 이해」, 원미사, 2002
김병희,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공동체, 2007
이계학, 「근대와 교육 사이의 파열음」, 아이필드, 2001
이규환, 「한국교육의 비판적 이해」, 한울, 1993
송준석, 「동학의 교육사상」, 학지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