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ve New World ch12-18

 1  Brave New World ch12-18-1
 2  Brave New World ch12-18-2
 3  Brave New World ch12-18-3
 4  Brave New World ch12-18-4
 5  Brave New World ch12-18-5
 6  Brave New World ch12-18-6
 7  Brave New World ch12-18-7
 8  Brave New World ch12-18-8
 9  Brave New World ch12-18-9
 10  Brave New World ch12-18-10
 11  Brave New World ch12-18-11
 12  Brave New World ch12-18-12
 13  Brave New World ch12-18-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Brave New World ch12-18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Chapter12-18 내용 요약
2. 인물 분석 및 각 인물이 보여주는 Irony

2-1) 주요 인물
2-1-1) John, the Savage: the Outsider

▪ 철저한 타자(outsider)로서의 John
▪ John과 William Shakespeare
John의 Irony

2-1-2) Helmholtz: ‘긍정적, 자발적 동기’의 반사회적 인물
 Helmholts의 Irony
2-1-3) Mustapha Mond: Ironical 한 Character
 Mustapha Mond의 Irony
2-1-4) Bernard: 가짜 주인공
▪ 초반~중반: Unorthordox한 인물
▪ 중반~후반: “왕.비.호”로 추락
 Bernard의 Irony
2-1-5) Lenina: “Balloon”
▪ 후반부: 태도의 양상에 변화
 Lenina의 Irony
2-2) 주변 인물
2-2-1) Henry Foster
2-2-2) Linda
 Linda가 처한 현실의 Irony
2-2-3) The Head Nurse
2-2-4) Reporters
3. 작품 속 사회의 아이러니와 이중성
3-1) 겉으로는 인간이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총통을 제외한 모두가 스스로 느끼고 사고할 수 없는, 철저히 통제 당하는 사회

3-2) 고도의 과학 발달의 결과로서 형성된 문명사회가 오히려 과학을 경계하는 모습
3-3) World State 사회 구성원들의 이중적인 모습
4. 생각해볼 점
본문내용
2-1-2) Helmholtz: ‘긍정적, 자발적 동기’의 반사회적 인물
Bernard의 오랜 벗이자 the College of Emotional Engineering의 교수인 그는, Bernard와 달리 “a little too able”한 인물이다. World State의 가치관과 현상에 의문을 품고 예술 및 과학 탐구에 집중하는 듯 World State의 통치이념에 반하는 사고 및 행동을 한다는 점에서 Bernard와 유사하지만, ‘열등의식’에서 비롯된 Bernard의 그것과 달리 그의 이러한 ‘반사회적’ 행동양상은 현재의 상황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더 나은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건강한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는 인간이 가진 고독, 분노, 고통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며, 그것들이 인간 삶에 존재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Bernard와 Helmholts의 차이는 소설 후반부로 갈수록 극명하게 대조된다. 그러나 Helmholts역시 World State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물로서의 한계를 100% 극복할 수는 없다.

예1) soma없이도 관용을 베풀 수 있는 성품
p.180 it owed nothing to soma and everything to Helmholtz’s character. It was the Helmholtz of daily life who forgot and forgave, not the Helmholtz of a half-gramme holiday.

예2) Mond와의 대화에서 엿볼 수 있듯, 그는 고통이 인간 삶에 안겨주는 긍정적 효과를 이해하고 있다.
p.229 I should like a thoroughly bad climate, he answered I believe one would write better if the climate were bad.
p.185 you’ve got to be hurt and upset ; otherwise you can’t think of the really good, penetrating, X-rayish phrases.

예3)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가족과 관련된 갈등과 사랑을 이해하지 못하며, 사랑이란 감정에 대한 이해 역시 부족한 그의 모습은 결국 그가 타인과 공유하는 부분의 감정에 대해서는 무지함을 나타낸다.
P.184 when Juliet said this, Helmholtz broke out in an explosion of uncontrollable guffawing.
 Helmholts의 Irony
이 사회의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르게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감정 중에서 고독, 분노, 고통을 느낀다. 예를 들어, 고독이란 감정을 느끼며 자신의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자신의 자작시를 보여줌으로써 고독이란 감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감정들은 gravity에 치중되어 있다. 즉, 그는 soma없이도 관용을 베풀 수 있는 성품이지만, Affection과 관계된 감정들에 있어서는 여전히 치욕스러움을 느끼며 이들을 표현하는 것 자체에 대하여 거부감을 느낀다. 이는 그가 World State의 Hypnopaedia에 철저히 학습된 인간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준다.

2-1-3) Mustapha Mond: Ironical 한 Character
이 사회에서 제한되고 배제된 영역, 즉, 예술∙과학∙종교에 대해 잘 알고 있고 그 가치 또한 인정하
지만, 사회 안정 및 시민들의 지속적인 행복감 유지를 위해 이것들은 반드시 외면되고 금기시되
어야 한다고 믿고 통제를 주도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통제 속에 얻어진 World State 시민들이 누
리는 행복감은 자신이 과거 과학탐구를 통해 느꼈던 행복감과는 분명히 다른 것임을 인식하고 있
다. 그는 모두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행복(지적 탐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을 기꺼이 희생했다고
믿지만, 사실상 세계 통치자의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이를 포기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그는 이
면에는 여전히 지울 수 없는 과학과 자유, 독립적인 삶에 대한 개인적 동경을 지니고 있다.

예1) 높은 수준의 예술은 인간의 삶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행복을 전해준다. ‘High art’를 통해 인간은 삶에 대한 고찰과 자아 성찰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Mustapha Mond는 모두의 행복과 ‘high art’는 공존할 수 없으며 따라서 양자택일의 선택이 필수불가결하다고 주장한다.
p.220 “But that’s the price we have to pay for stability. You’ve got to choose between happiness and what people used to call high art. We’ve sacrificed the high art.”
p.221 “Actual happiness always looks pretty squalid in comparison with the overcompensations for misery. And, of course, stability isn’t nearly so spectacular as instability. And being contented has one of the glamour of a good fight against misfortune, none of the picturesqueness of a struggle with temptation, or a fatal overthrow by passion or doubt. Happiness is never grand.”

예2) Mond는 예술, 과학, 종교, 자유 등 일련의 것들은 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주장하지만, 그의 이면에는 여전히 이것들에 대한 동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 225 “It isn’t only art that’s incompatible with happiness; it’s also science. Science is dangerous; we have to keep it most carefully chained and muzzled.”
p. 227 “Whereas, if he had the smallest sense, he’d understand that his punishment is really a reward. “, “I almost envy you, Mr. Watson.”

예3) 그는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 과학을 버렸고, 예술, 과학, 종교를 통제함으로써 World State을 무지로 몰고 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p.227 “I was given the choice; to be sent to an island, where I could have got on with my pure science, or to be taken on to the Controllers’ Council with the prospect of succeeding in due course to an actual Controllership. I choose this ad let the science go.”
“I rather regret science. Happiness is a hard master, If one isn’t conditioned to accept it unquestioningly, than truth. “

 Mustapha Mond의 Irony
스스로 과학, 예술, 종교가 없는 사회에는 변화가 없으며 장대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마저도 상실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여전히 과학, 예술, 종교가 자유롭던 시절을 그리워하고, 이를 자유롭게 추구하는 Helmholts를 부러워하며, Iceland로의 추방이 Bernard에게 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