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

 1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1
 2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2
 3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3
 4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4
 5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5
 6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6
 7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7
 8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8
 9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9
 10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10
 11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의 구조] 품사 분류의 유형과 장단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품사 분류의 유형
1-1. 체언
1-2. 용언
1-3. 수식언
1-4. 관계언
1-5. 독립언

2. 품사 수에 따른 분류 체계
2-1. 주시경의 6품사분류
2-2. 김희상의 7품사분류
2-3. 이숭녕의 8품사분류
2-4. 학교문법
2-5. 최현배의 10품사분류
2-6. 이완응의 11품사분류


Ⅲ. 결론

본문내용
3) 품사 분류의 장단점

(1) 장점 : 첫째, 선구적이고 독창적인 의미를 지닌 문법 연구이다. 둘째, 통사적인 구조 속에서 품사론을 파악하려고 했다.
(2) 단점 : 품사를 달리 지칭하고 있을 뿐 동일한 의미의 단위이다. 즉 언어 단위의 경계가 명시되지 않았다.


2-2. 7품사 분류 : 김희상

1) 품사 분류의 내용

명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접속사, 감탄사

2) 품사 분류의 특징
체언어미와 용언어미를 통합시키어 '토'란 품사를 설정했다. 이는 우리말 한문 실습에 전래적으로 쓰던 허사의 개념인 '토'를 품사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또한 대명사를 독립품사로 설정했는데, 그의 문법서 저작의 동기가 영어문법을 학습하며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 문법서를 가지고 싶다는 욕구에서 출발한 점으로 미루어 영어법체계를 그대로 따른 것으로 보인다.

3) 품사 분류의 장단점
(1) 장점 : 첫째, 체언어미와 용언어미를 통합시키어 ‘토’라는 품사를 설정한 분류의 시작이 되었다. 둘째, 토의 처리에 있어서 등 전통성과 우리말 자체의 특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2) 단점 : 대명사를 독립품사로 설정한 것은 영어법체계를 그대로 따른 것인데, 서구문법에서 중시되는 접속사는 독립품사로 인정하지 않았다.

2-3. 8품사 분류 : 이숭녕

1) 품사 분류의 기준

이숭녕은 품사 분류의 방법으로 뜻, 구실, 형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모두 8품사로 나누었다. 품사 분류의 기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기본적 의미에 의하여, 문장의 구성에 있어서의 구실에 의하여, 형태의 형성과 어미변화의 방식에 의하여’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숭녕의 품사론은 특히 형태적인 것에 특성을 두었는데, 품사를 4가지 형으로 구분한다. 이는 형태적 변화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제 1형의 명사, 대명사, 수사는 격변화를 한다는 특징을 내세웠으며, 제 2형은 동사, 형용사로 활용을 그 특징으로 삼았다. 제 3형인 관형사, 부사는 불변화사로, 제 4형인 감탄사는 다른 말과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독립된 특수 품사임을 주장했다.

2) 품사 분류의 내용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1) 명사 : 독립된 관념(뜻)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①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 ② 보통명사와 고유명사

참고문헌
김동현,「국어 품사 분류에 대한 연구」,『평택대학교 논문집』제10집, 제1호, 1998
김석득,『우리말 연구사』, 정음문화사, 1990
김일,「품사 분류에서의 학자들의 견해상 차이에 대한 고찰」,『語文論集』제42, 2009.11
유광재,『희소 전공 국어 학교 문법의 탐구 문제집』, 희소, 2004.
이광정,『국어문법연구Ⅰ』, 역락, 2003
이광정,『국어품사분류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연구』, 한신문화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