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

 1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
 2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2
 3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3
 4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4
 5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5
 6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6
 7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7
 8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8
 9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9
 10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0
 11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1
 12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2
 13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3
 14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4
 15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5
 16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6
 17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7
 18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북한 언어 분화 과정과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남북한 상호 인식 현황

1.1 논의의 필요성 및 방향
1.2 남북 언어 상호 인식 현황
1.3 남북한의 상호 교류
1.4 논의의 전제

2. 남북 언어 분화 과정

2.1 근대부터 분단 전까지의 한국어
2.2 남북한 언어관
2.3 남북한 규범의 변천

3. 남북한 언어 분석

3.1 북한의 문화어

3.2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3.2.1 어휘의 차이점
3.2.2 문법의 차이점
3.3 남북 언어 관계 분석 및 통일 가능성 진단
3.3.1 긍정적인 측면
3.3.2 부정적인 측면

4. 해결방안

4.1 독일의 선례
4.2 베트남의 선례
4.3 해결방안 논의의 초점
4.4 기존에 논의된 해결방안의 의의 및 한계
4.5 보완책

5. 결론

본문내용
2.3 남북한 규범의 변천

남한은 ⟪한글마춤법통일안⟫은 계승하여 광복 후에 맞춤법 통일안 3차 수정안부터 지금까지 5차례의 수정을 가해 왔다. 하지만 1946년 3차 수정안에서 사이시옷을 1933년 체제로 복구하고 띄어쓰기의 대대적인 개정이 있었던 이래로 문교부 교시로 정해진 현행맞춤법에서 대폭 수정한 점을 빼고는 용어의 변화나 국한문 사용에 대한 변화일 뿐이기 때문에 두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3차 수정안
(1946)
띄어쓰기의 대대적인 개정
사이시옷을 1933년 체제로 회귀
4차 수정안
(1948)
국한문체를 한글체로 변환
5차 수정안
(1956)
한자용어를 순우리말 용어로 대체
6차 수정안
(1980)
한글학회의 독자적인 수정안
실용화되지는 못함
현행 맞춤법
(1988)
문화교육부 고시
시대에 따라 변화된 부분들을 개정
표 3)


북한 역시 ⟪한글마춤법통일안⟫을 계승하였기에 전체적으로는 크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1948년의 ⟪조선어신철자법⟫에서 철저한 형태주의를 강조하고 한자어 어두음에 [ㄹ, ㄴ]을 그대로 표기하고 사이시옷을 폐기한 데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후 1954년 조선어 철자법에서 본격적으로 용어와 관점에 차이가 부각되기 시작하고 김일성의 두 차례가 교시 (1964, 1966) 1964년 김일성 1차 교시,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가지 문제’
1966년 김일성 2차 교시,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나갈데 대하여’ 참고
가 있게 된 후에 사회주의 언어도구관에 충실해지면서 이질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1933년 통일안이 어문규범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1기
(1945-1954)
한글맞춤법을 준용
조선어신철자법 제정(1948)
2기
(1954~1966)
조선어 철자법 공포
새옥편 편찬
3기
(1966-1976)
조선말규범집 공포
김일성 교시
4기
(1976~1987)
문화어운동의 활발
개인저술의 활발한 간행
5기
(1987~~)
조선말규범집 수정판 공포
표 4)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언어정책, 서울 : 국립국어연구원, 1992
김민수 외 15인,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서울 : 국학자료원, 2002
김수경, 고구려 백제 신라 언어연구, 서울 : 한국문화사, 1989 (1995년 영인)
김영수, ‘대학생 및 고등학생들의 탈북자관 조사’, 전략논총 Vol.10.No, 한국 전략 문제 연구소, pp127-156, 1998
정경일, 남한정착 북한출신 주민의 언어적응 실태 조사연구, 서울 : 문화관광부, 2001
조오현 외 2인, 남북한 언어의 이해, 서울 : 역락, 2002
조오현 외 4인, 북한 언어 문화의 이해, 서울 : 경진문화사, 2005
최용기, 남북한 국어정책 변천사 연구, 서울, 박이정, 2003


김민수, ‘남북언어의 비교 : 통일 후의 한민족어 교육을 위한 제언’, 江南語文 Vol.9.No, pp 53-67, 1996
김영길 외 4인, ‘독일 통일 이후의 언어통합과정 연구’,
독일어 문학 Vol.15.No, 한국독일어문학회, pp 319-362, 2001
박신의, ‘남한과 북한 통일의 문화적 조건’, 국학연구 Vol.10.No, pp81-110, 2007
송기중, ‘통일을 지향하는 언어 문화’, 인문과학논집 Vol.7.No,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 227-237, 1999
전수태, ‘남북한 언어 차이와 그 극복 방안’, 국어문화학교 Vol.-No.5, 국립국어연구원, pp 69-96, 2000
홍사만, ‘남북한 언어이질화의 실태분석과 그 통일방안’, 人文科學 Vol.1.No, 慶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pp 89-108, 1985
홍연숙, ‘북한의 문화어와 언어정책’, 공산권연구논총 Vol.2.No, pp119-147,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