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

 1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1
 2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2
 3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3
 4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4
 5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5
 6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6
 7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7
 8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8
 9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9
 10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10
 11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학] 구조주의와 생성문법 -소쉬르에서 촘스키까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조주의 언어학의 흐름

1) 소쉬르 소쉬르 - 1857년 11월 26일생 스위스 언어학자, 부잣집 도련님이었으며 완벽주의자였고 자신의 생각이 시대의 조류와 맞지 않고, 시비 거는 사람도 매우 귀찮고 싫었기 때문에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출판을 매우 꺼려하였다. 전임교수출신.
의 언어학
2) 야콥슨 1896년 10월 11일생 러시아출생 미국 언어학자. 잦은 이동. 언어학 교수. 프라그학파 창시자. 그의 저서『음성분석 서설―판별적 특징과 그 관련량(關聯量) 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의 자질 이론

(1) 야콥슨에 의한 12쌍의 변별 자질

(2) 참스키와 모리스에 의한 변별 자질
➀ 자음 자질표

➁ - 모음, 활음 자질표
3) 소쉬르와 야콥슨

2. 미국의 구조주의

3. 생성문법과 촘스키 이론의 변천

※ 참고자료

첨가
* 자음 자질
* 모음 자질
본문내용
이러한 구분은 음성적인 특성 즉 소리의 차이에서 구분될 수도 있지만 분광 사진기를 통해 느끼기 힘든 음의 진동이나 진폭, 확산, 에너지양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구분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변별적 자질 이론을 통해 야콥슨은 어린이 언어 습득 연구나 실어증 연구가 음운 체계를 지배하는 법칙 연구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야콥슨의 양극적 이항 대립(그러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지나친 일반주의라고 비판당한 바 있지만 그 명료성과 그의 이론적 구성은 많은 언어학자들과 이례적으로 초기 컴퓨터에 관여한 수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야콥슨의 큰 업적은 다른 학자들과의 교류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인류학자인 레비스트로스와 교류하면서 구조 인류학을 형성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하였으며, 위에 언급했던 촘스키와도 교류하여 촘스키의 ‘변형생성문법’을 완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3) 소쉬르와 야콥슨
그렇다면 야콥슨과 소쉬르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우선 소쉬르는 구조주의 언어학을 연구함에 있어 이전의 통시적이었던 연구방법보다 공시적 연구에서의 언어 체계와 궁극적인 언어 연구에 큰 효용성을 가졌다고 생각하지만 야콥슨은 공시적인 연구를 부정하지는 않되 공시적이라 하여 꼭 정태적인 것만은 아니며 통시적이라 하여 꼭 역동적이라는 사고는 언어 연구에 한계를 가져다 줄 것이라 주장하고 역동적인 공시태, 정태적인 통시태로 언어 연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공시태와 통시태를 이분법적으로 구분되는 성질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주의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소쉬르는 음성․음향학적인 부분에 신경 쓰지 못하고 오직 랑그와 빠롤로 구분하여 언어를 연구한 것에 비해 야콥슨은 소쉬르의 의견을 수용하면서도 음성학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음소를 인정하고 음소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음성 자질, 즉 변별 자질을 통하여 음운의 대립체계를 확립하려 하였다.

2. 미국의 구조주의
사피어와 블룸필드를 중심으로 태동한 미국의 구조주의는 인류학적 연구에서부터 출발했다. 미국의 언어학자들은 문자 기록도 없는 아메리칸 인디안 부족의 언어를 연구하려고 할 때, 유럽과 달리 따라야 할 확고한 지침이 없었기 때문에 소리, 형태소 등 여러 층위의 언어 기술의 엄밀한 방법론을 개발해야만 했다. 보아스(Boas)의 인디언어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미국은 나름대로의 구조주의적 기틀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사피어(Edward Sapir)는 문법 분석뿐만 아니라, 언어의 문화적 양상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문예 창작, 신화, 종교에서의 언어의 기능을 연구하는 등 문화 인류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그는 언어형(languisitic pattern)이라는 개념을 통해 언어 구조는 정신적 실재라고 생각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람은 의사 전달을 위해서 자신의 생각을 심리적 언어형에 따라 현실적 언어 자료로 표출한다. 즉, 심리적 언어 구조는 우리의 지각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때문에 사피어는 언어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의 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러한 견해를 그의 제자인 워프(Whorf)가 발전시켜 Sapir-Whorf 가설이 세워졌다. 이것은 언어가 인간의 사고양식이나 문화양식을 결정한다고 보고 있으며, 그 예로 미국 아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