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

 1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
 2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2
 3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3
 4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4
 5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5
 6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6
 7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7
 8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8
 9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9
 10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0
 11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1
 12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2
 13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3
 14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4
 15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5
 16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6
 17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디자인과 생활]아르누보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및 의의
Definition
탄생 배경
Origin
역사
History
대표 작가 및 작품
Collection
현대적 활용
Utilization
본문내용
▶ 아르누보(Art Nouveau)란?

‘새로운 예술’ 혹은 '신 미술' 이라는 뜻으로, 1890년대~1990년대 초 역사주의로부터 탈피하고 자유롭고 새로
운 것을 창조하려는 움직임에서 구조와 기능과 장식의 통일을 기본원리로 자연주의적이고 유기적인 형체를 구사
했던 장식미술. 회화 뿐만이 아니라 건축, 가구, 제품, 패션, 그래픽 디자인 등 생활 환경의 전반에 관계한다.
종래의 건축·공예가 그 전형(典型)을 그리스, 로마 또는 고딕에서 구한 데 비해서, 아르누보는 모든 역사적인 양
식을 부정하고 자연형태에서 모티프를 빌려 새로운 표현을 얻고자 했다. 특히 덩굴풀이나 담쟁이 등 식물의 형태
를 연상하게 하는 유연하고 유동적인 선과, 파상(波狀)·곡선·당초무늬 또는 화염무늬 형태 등 특이한 장식성을
자랑했고, 유기적이고 움직임이 있는 모티프를 즐겨 좌우 대칭이나 직선적 구성을 고의로 피하였다.
곡선·곡면의 집적(集積)에 의한 유동적인 미를 낳는 반면 견고한 구축성이라든가 기능에 기초를 둔 합리성이 소
홀하여 기능을 무시한 형식주의적이고 탐미적(耽美的)인 장식으로 빠질 위험이 있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아르
누보는 비록 양세기에 걸쳐 일어나긴 하였으나 현대적인 디자인 개념과 발전이라는 면에서 볼 때 한 발자국 뒤떨
어져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19세기에 속한 빅토리아 시대의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고, 비교적 단명했던 것도 이러
한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전통을 과감히 개혁하고 생활 환경의 다양한 분야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아르누보는 현대 디자인의 문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 세계 각국의 아르누보를 칭하는 단어

- 영·미국 : ‘아르누보(Art Nouveau)’
- 독일 : ‘유겐트(Jugendstil)’
- 프랑스 : ‘기마르(Style Guimard)’
- 이탈리아 : ‘리버티(Stile Liberty)’

▶ 1890년대 기류

- 19세기의 잔재와 낡아빠진 사상을 불식시키고자 하는 욕구
- 20세기와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의 ‘에펠 탑’과 ‘기계관’)

▶ 예술과 산업의 융합을 도모하면서도 기능보다는 ‘美’를 중시함

- 수공예 중심 → 과학기술과 공업디자인 중심으로
- 예술과 산업의 융합과 유대를 도모하려 하는 이원성의 내재

▶ 유럽의 전통적 예술에 대한 반발

- 신 예술을 수립하려는 당시 미술계의 풍조를 배경으로 함
- 모리스의 미술 공예 운동, 클림트나 토로프 · 블레이크 등의 회화의 영향

▶ 철, 유리, 콘크리트 등의 미적 가능성을 탐구

- 반 데 벨데(Henry Van de Velde) - "철골의 강한 역할이 아름다움을 인도하는 한 미를 창출한다.”
- 오르타(Victor Horta) - 『츄링가의 집』, 기마르(Hector Guimard) - 파리 메트로 등은 철의 신기법 없이는
불가능한 디자인이었음

▶ 본질적으로 고전적 자본주의 체제하의 산물

- 귀족 지배 이후 최초의 보편적 디자인 양식
- 새롭게 대두한 부르주아 계층의 지지를 받으면서 세계적 추세가 되었음
▶ 몰락 그리고 현재까지 (1905~)

- 1890년대 말부터 디자인의 기본원리인 장식은 기능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논리를 따르지 않은 점을 두고
불만의 소리가 나오기 시작함

- 1904년 메종 드 아르누보가 문을 닫고 그 다음해 빙이 세상을 떠남으로 인해, 1905년 이후 아르누보 운동은
그 중요성을 상실하고 급격하게 쇠퇴함

- 1910년경부터 건축·공예계에는 기능과 사회성을 보다 중요시하는 풍조가 강해지면서 R.랄리크의 보석 디자인,
E.가레의 유리공예, 그리고 미국에서의 티퍼니의 유리그릇과 에스파냐에서 계속된 가우디의 건축활동 등 약간
의 예외를 제외하고 아르누보는 소멸해감

- 몇몇 뛰어난 대표 작가들만이 아르누보 운동을 주도했다는 사실이 결국 급속한 몰락의 배경이 됨

- 그러나 종래의 역사주의·전통주의에 반항하여 빈의 제체시온(secession:분리파)을 불러일으키는 등 현대미술
의 확립에 선구적 구실을 했다는 점과 근대운동에 끼친 영향력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해야 함

- 설리번이 설계한 시카고 공회당(1888), 오르타가 설계한 브뤼셀의 P.E.
얀손가(街)의 가옥(1892∼1893), 기마르가 설계한 파리의 지하철역
(1900) 등이 아르누보의 양식을 오늘에 전하는 대표적인 것이며 뭉크,
툴루즈로트레크, 나비파도 이 유행의 기조에 관련하는 것으로 간주됨



유달리 짧았던 수명. . . 하지만 컸던 영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