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

 1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1
 2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2
 3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3
 4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4
 5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문화] 근대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천황제도의 강화 배경과 그 지지기반
2. 메이지 헌법(대일본제국헌법)의 도입과 천황의 지위 격상
3. 메이지(明治) 천황시대
4. 다이쇼(大正) 천황시대 - 군국주의의 대두
5. 쇼와(昭和) 천황시대 - 태평양전쟁의 전개
6. 일본은 천황제를 어떻게 지켜냈는가
7. 일본국헌법에서의 상징천황제
8. 상징천황제의 안정과 우경화 - 절대천황으로의 회귀
결론
본문내용
서론
지난 수업 시간에 ‘TV 책을 말하다 - 국화와 칼’ 방송비디오를 보면서 태평양 전쟁의 일본이 가미카제 특공대같이 결사항전을 다짐했던 일본인들이 천황의 항복 선언을 통해 바로 돌변하여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자 최선을 다하는 이중적인 행동을 하는데 있어 천황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일본사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천황을 제대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에서 우리조의 연구주제를 근대사회 이후 천황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정하였고 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전체적인 내용으로는 천황이 강력한 권한과 역할을 가지게 된 메이지유신 시대부터 최근 천황 중심의 우경화 현상까지 다루려 한다.

본론
1. 천황제도의 강화 배경과 그 지지기반
① 천황제도의 강화 배경
메이지유신 이후 무사 계급의 몰락과 농민들의 봉기 등으로 일본 계급사회의 혼란이 가중된 시점에서 일본을 이끌던 신진세력들은 혼란한 국내 사정을 안정시키고 중앙집권적인 강력한 지배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왕정복고 즉, 천황 제도를 법적으로 명문화시키고 강화하게 된 것이다.
② 천황제도의 지지기반
(1) 신도(神道)
국가는 국민적 통일과 우월의 상징을 선양시키는 종교는 국가에 속하게 하고 다른 종교는 개인의 신앙의 자유에 맡기게 하였는데, 이 국가적 종교란 신도(神道)를 말한다. 이것은 단순한 충성의 상징에 지나지 않으며, 종교가 아니기에 서양인의 비난을 받을 염려 없이 일본인은 그것을 학교에서 가르칠 수가 있었다. 국가신도는 학교에서 신화시대 이래의 일본역사와 만세일계(萬世一系)의 통치자인 천황의 숭배로 다루고 있다.
(2) 교육칙어(敎育勅語)
1890년 를 공포해 천황제의 이데올로기를 체계화하기 시작했다. 이 ‘교육칙어’는 패전 전 일본인을 군국주의로 몰고 간 국민교육의 규범적 지침이자 천황에 무조건 충성토록 하는 국민적 실천요강이었다. 국민은 누구나 이를 암기해야 할 의무가 있었고 학교에서는 교육상 어겨서는 안 될 교범이기도 했다. 바로 이 ‘교육칙어’가 황국사관의 모태가 된 것이다.
(3) 전통적인 수직적 구조
일본인은 끊임없이 계층제도를 고려하면서 세계를 질서화 하였다. 가족이나 개인의 관계에서는 연령, 세대, 성별, 계급 등이 알맞은 행위를 지정한다. 정치․종교․군대․산업계에 있어서는 각 영역이 치밀하게 계층화하였고 윗사람도 아랫사람도 자기들의 특권의 범위를 넘어서면 처벌당한다. 일본인들은 전통적으로 ‘알맞은 위치’가 보장되는 한 그 위치를 지키고 질서를 유지하려하며, 그 계층제도의 정점에 천황이 자리하고 있다.
(4) 은혜(恩)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恩의 첫 번째 의미는 빚이다. 그중 첫째의 그리고 최대의 빚인 ‘천황의 恩’의 경우에는 무한한 헌신이란 맥락에서 사용된다. 그것은 한 사람이 천황에게 대해 지고 있는 채무이며, 누구나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사의(謝意;사죄의 뜻)로써 그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5) 기무(義務)
아무리 노력하여도 전부 갚을 수 없고 끝이 없는 은혜로서 일본인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천황과 법률, 국가에 대한 기무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참고문헌
루스 베네딕트. 이광규 편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정일성. 지식산업사. 2000
일본학교육협의회 엮음 태학사. 2002
홍윤기 지음 인북스. 2003
W.G. 비즐리 지음 장인성 옮김 을유문화사. 1996
일본역사교육자협의회 엮음 김현숙 옮김 혜안. 2001
일본국 헌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