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시와 이미지

 1  [현대시] 시와 이미지-1
 2  [현대시] 시와 이미지-2
 3  [현대시] 시와 이미지-3
 4  [현대시] 시와 이미지-4
 5  [현대시] 시와 이미지-5
 6  [현대시] 시와 이미지-6
 7  [현대시] 시와 이미지-7
 8  [현대시] 시와 이미지-8
 9  [현대시] 시와 이미지-9
 10  [현대시] 시와 이미지-10
 11  [현대시] 시와 이미지-11
 12  [현대시] 시와 이미지-12
 13  [현대시] 시와 이미지-13
 14  [현대시] 시와 이미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 시와 이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이미지란 무엇인가
(2)이미지의 종류
(3)이미지의 차용과 강조

3. 나오며
본문내용
낙엽은 지폐, 길은 구겨진 넥타이, 급행열차는 조그만 담배 연기이며 포플라 나무는 근골처럼 보인다.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내었고 구부러진 철책은 바람에 나부끼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구름은 셀로판지로 만든 것처럼 보인다. 구체적인 사물들이 이와 같이 견주어짐으로써 그 이미지가 한결 더 선명하게 부각됨을 느낄 수 있다.
물에서 갓나온 여인이
옷 입기 전 한때를 잠깐
돌아선 모습

달빛에 젖은 탑이여!

온몸에 흐르는 윤기는
상긋한 풀내음새라 검푸른 숲 그림자가 흔들릴 때마다
머리채는 부드러운 어깨 위에 출렁인다.

-조지훈 「여운」부분
시인은 탑의 전체적인 모습을 ‘물에서 갓나온 여인’에, 탑에 흐르는 윤기를 ‘상긋한 풀내음새’에 비유하고 있다. 그리고 탑에 비치어 흔들리는 숲 그림자를 여인의 머리채를 빌려 표현하였는데, 위의 세 개의 이미지가 결합되어 탑이 지니는 전체적 심상을 직조해낼 때 그것을 이미저리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와 이미저리의 용어에 대한 구별이 시를 감상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여겨지지는 않아서 발표에서는 그 구분에 큰 비중을 두지는 않기로 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인이 이처럼 많은 이미지들을 구사하고 있는 이유가 시인 자신만의 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의 어떤 것에 호소한다는 것은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극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며 시적 장치일 것이다. 시인들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에 독자들이 효과적으로 반응도록 이미지를 빌려오고, 문맥을 구성하고, 작품 전체를 조직화한다. 이때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이미지이며, 이것이 조직화되어 시의 문맥을 복합적으로 떠받치게 하는 것이 이미저리(imagery)라고 구분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시의 독자와 함께 탑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하고 싶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혼자 보고 간직하고 마는 것이라면 구태여 언어로 표현할 필요가 없겠지만 그것을 객관적으로 실재시키기 위해서는 언어라는 매개적 수단을 사용해야 하고, 그것을 더 강렬하게 전달하고자 할 때 시인들은 이렇게 이미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시적 문맥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적 이미지란 어떠해야 하는가? 첫째로 이미지는 시의 주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주제와 이미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독자는 시와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 작가의 경험이 아무리 재생되어 나타난다고 해도 감동을 받기가 어렵다. 이미지는 한 편의 시를 이루는 부분적인 심상의 구체화이기 때문에 더욱 더 주제와의 연관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미지는 신선하게 창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시인들의 상상력과 창조력을 강조하는 것으로 진부한 표현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며, 강렬함이나 신선함을 줄 수가 없어서 크게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상백, 『이미지론 시고』, 성심어문논집, 1981, p.4.

이미지가 무엇인지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들을 살펴본 결과 본 발표조는 이미지의 정의를 ‘정서적 감응의 형상화’의 장치로 판단하고 그 종류에 대해서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이미지의 종류
참고문헌
김용직, 『현대시원론』, 학연사, 1988.
윤석산, 『현대 시학』, 새미, 1996.
이상백, 『이미지론 시고』, 성심어문논집, 1981.
이승훈, 『詩論』, 태학사, 2005.
전규태, 『시의 이미지 췌론』, 국어문학, 1985.
Day Lewis, C. The Poetic Image. 1947.
Heidegger, M. '휠더린 시의 해명‘, 소광희 역, 『시와 철학』, 박영사, 1972.
Wellek, R. & Warren, A. Theory of Literature, New York : Penguin Books, 1970.
Sartre, J. P. ‘ést-ce La Littérature’, 김붕구 역,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문고, 197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