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lexicon, writing system, phonology, syntax 관점에서 살펴본 삼국의 언어

 1  [언어학] lexicon, writing system, phonology, syntax 관점에서 살펴본 삼국의 언어-1
 2  [언어학] lexicon, writing system, phonology, syntax 관점에서 살펴본 삼국의 언어-2
 3  [언어학] lexicon, writing system, phonology, syntax 관점에서 살펴본 삼국의 언어-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학] lexicon, writing system, phonology, syntax 관점에서 살펴본 삼국의 언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우리 조상들이 처음 접했던 문자는 한자였고, 결국 한자를 빌려서 우리나라의 말을 기록하게 됨. 고구려의 劉記나 백제의 書記등을 참조하면, 삼국은 일찍 부터 한문을 도입한 것을 알 수 있음. 외국어인 한자로 글을 쓰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음. 따라서 적당히 우리말에 맞게 표기법을 구축한 후 한자의 뜻이나 음을 빌려서 사용하게 되었음.
삼국은 모국어와 한문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노력했는데, 첫 번째로 모국어와 한문적 기사법 차이의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서 표음적 기능과 표의적 기능을 적절히 배합해 이용하였음. 두 번째로는 자국어 표기의 문법 형태들을 표기하기 위해서 고유어 ‘토’를 음성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을 잘 이용해 한자로 옮겨놓았다. 셋째로 어순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장안에서 한자를 재배열해서 자신들의 어순으로 바꿨음.
이런 노력들은 이두라는 표기법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고구려에서 가장 먼저 발전되어 백제 신라로 전해지게 되었음. 그것을 증명해주는 그 당시의 자료를 참조해보면, 평양성돌에서 '八月中', 백제 개로왕의 칼에서 '十二月中', 신라 길항사 석탑의 '戊戊中'에서 中이 문법요소로 쓰였으며, ‘~에’의 뜻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된것을 알 수 있음.
유물들을 바탕으로 삼국시대 이두의 단어, 뜻, 배열등이 세 나라에 공통적으로 쓰였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