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

 1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1
 2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2
 3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3
 4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4
 5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5
 6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6
 7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문학] 중세극과 에브리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중세 연극의 발생

중세극의 발달단계
Liturgical drama
Mystery plays, Miracle plays
Cyclical plays or Pageant plays, Corpus Christi plays
Moral play
Interlude

중세극의 양식-종교극, 세속극
종교극
Mystery play, Miracle play, Morality play

세속극
Folk play, Farce, Secular interlude

중세극 특징

중세 연극의 무대: 고정무대와 이동무대(수레무대)

Everyman 작품의 특징(알레고리 수법)

Study points
1. 진정한 신과 인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2. 'The book of count'의 의미와 ꡐGood Deeds'가 갖고 있던 고통의 의미

본문내용

중세극의 발달단계

미사예배극(Liturgical drama)
중세에 교회는 신도들에게 성경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연극적 요소를 가미하는 등의 노력을 하게 되었다. 미사예배극은 교회에서 성직자들이 성서의 주요한 사건이나 성자들의 생애를 소재로 음악에 맞추어 라틴어로 노래하거나 낭송하는 것이었다. 특히 부활절 축하미사 같은 때에는 수도사와 신부, 성가단원들이 무덤을 찾는 세여인과 무덤을 지키는 천사의 역할을 맡아 예수의 부활을 재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단순한 형태의 예배극은 점차 보다 사실적이면서도 흥미 있는 요소가 가미되면서 교리의 효과적 전파라는 본래의 목적이 희석되고 차츰 세속적 드라마의 요소를 갖추어 갔다. 1250년 경에 이르자 교회는 성직자가 연극에 출연하는 것을 금지시켰고 예배의식에서 극적인 요소를 배제시키면서 예배극을 교회 밖으로 추방하였다. 교회의 직접적 간섭에서 벗어난 예배극은 점점 더 비종교적 요소가 첨가되면서 세속화 되어갔다.

신비극(Mystery plays), 기적극(Miracle plays)
주제의 선택에선 여전히 전적으로 종교적이었지만, 독립적이고 사실적이며 철저하게 국민적인 예술로서, 14?15 양세기에 걸쳐 한창 영글었던 연극이었다.
Mystery plays는 성서의 이야기를 내용으로 꾸민 연극으로 성경속의 주제에 국한되어있었지만, Miracle plays는 사도나 성자들의 생애나 비적을 다룬 극이지만 그 내용이 굳이 성경에만 국한되어있지는 않았다. 영국에서는 이 둘을 합쳐 대체로 Miracles로 불린다. miracles는 Satan의 몰락과 세계의 창조에서 Christ의 부활과 최후의 심판에 이르는 신?구약성서의 주요한 이야기를 25편에서 50편의 희곡으로 꾸민 그 한편 한편을 말하는 것이며 그 연속적인 전체를 Cycle이라고 부른다. 이 cyclical plays는 일종의 토착연극으로 14?15세기에 성하다가 16세기에 들어오면서 쇠퇴하게 된다. 쇠퇴원인은 첫째, 종교개혁에 의한 기독교 분파로 Catholics와 Protestants가 갈라지고, 교리나 성서이야기의 풀이가 달라져, 일반 신도들의 이들 작품에 대한 기본적 태도가 바뀌게 된 것, 둘째로 조합의 쇠퇴로 말미암아 공연경비 부담이 어려워 공연을 기피하게 된 것, 셋째로 Renaissance의 Humanism이 comedy와 tragedy라는 고전적 모델을 소개함으로써 시대적으로 새로운 형식의 연극적 표현을 요구하게 된 것, 넷째로 튜더(Tudor)왕조에서 생겨난 nationalism의 정신이 종교극보다는 역사적 애국적 연극을 요구하게 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cyclical plays의 특징은 강렬하고 단순한 사실주의라 하겠다. 이들 중세 무명 극작가들의 노력은 과거를 현재의 말로 재현시키고, 옛이야기를 바로 어제 일어났던 일처럼 생생하게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리얼한 신선미와 활력에 고전극의 연구에서 얻은 형식감이 가미되어, the English Drama가 완성을 보게 되고, 마침내 Shakespearian drama로 꽃
참고문헌
김익두, ꡐ연극개론ꡑ, 〈한국문학사〉, 1997
Rod W. Horton, Vincent F. Hopper, 김승수 역, ꡐ유럽문학의 배경ꡑ,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8
조은영 편저, ꡐ영미 드라마의 이해ꡑ, 〈동인〉, 1997
M. S. 배랭거 지음, 이재명 옮김, ꡐ연극 이해의 길ꡑ, 〈평민사〉, 1999
김우탁 저, ꡐ영미희곡개론ꡑ,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1983
오스카 G. 브로케트 지음, 김윤철 옮김, ꡐ연극개론ꡑ, 〈한신문화사〉,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