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

 1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1
 2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2
 3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3
 4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4
 5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5
 6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6
 7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7
 8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8
 9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9
 10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10
 11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장교육]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STAD)을 활용한 어휘 수업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을 활용한 어휘 수업활동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성취분담과제모형
(2) 그림연상모델
(3) 맥락에서 단어 의미 추측하기
3.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을 활용한 어휘 수업활동
4. 그림과 성취과제분담모형을 활용한 어휘 수업모형 및 수업지도안
5.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3) STAD 모형의 의의
① 성취과제분담 학습모형은 집단구성원들의 역할이 분담되지 않은 공동학습구조이면서 동시에 개인의 성취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상되는 개별보상구조이다. 즉, 개인의 성취에 대해 팀 점수가 가산되고 팀에게는 집단보상이 추가되는 구조이다.
② 이 학습모형에서는 능력이 낮은 학생들도 자신의 기본점수보다 10점 이상의 점수를 올림으로써 자신의 집단을 위해 최대의 점수를 얻을 수 있다.
③ 능력이 높은 학생들도 집단 전체에 기여하기 위해 만점을 받거나 자신의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도전적이 된다.

(2) 그림연상모델
Chen & Leung(1989)은 초보학습자들이 목표어 단어의 의미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중개자(mediator)’로 모국어나 그림 표상을 이용함을 발견하고 그림 연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림 연상 모델을 설명하면 제1언어(L1)로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는 것과 이미지로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기 때문에([b+d]=[a+c]), 제1언어(L1)로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고 의미를 제2언어(L2)로 말하는 시간과 이미지로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고 의미를 제2언어(L2)로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다는 것([b+d+g+h]=[a+c+g+h])이다.

그림 연상 모델



참고문헌
김 현(2009) 『교육학 키위 하권1』, 서울: 참교육과 미래.
전태련(2008) 『2010년 대비 최신개정 함께하는 교육학 5』, 서울: 마이쌤.
Celce-Murcia, M. (2001)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3rd ed., Boston: Heinle & Heinle.
Chen, C. & Y. Leung (1989) “Patterns of Lexical Processing in Nonnative langua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ul hancock (2001) Is That What You Mean?, Pengu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