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

 1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
 2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2
 3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3
 4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4
 5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5
 6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6
 7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7
 8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8
 9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9
 10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0
 11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1
 12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2
 13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3
 14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4
 15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5
 16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6
 17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7
 18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8
 19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19
 20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계공학] 로봇 설계, 조립, 프로그래밍 실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소개

2.설계과정
-로봇요구사항분석(Customer Requirement 도출)
-관련자료조사
-로봇요구사항을 만족하는 Technical Requirement 작성
-Relationship Map 작성
-Technical Requirements를 만족시키는 부품특성 정량적으로 작성
-CTQ Identification 수행
-QFD
-CTQ 분석결과 요약
-CTQ 분석결과 바탕으로 개념스케치 작성

3. 설계스케치
-수동 (개념설계도)
-자동1 (개념설계도)
-자동2 (개념설계도)

4.로봇제작
-수동 (제작과정,부품 구체적 설명)
-자동1(제작과정,부품 구체적 설명)
-자동2(제작과정,부품 구체적 설명)

5.알고리즘
-수동 (차별전략, 설명)
-자동1 (차별전략, 설명)
-자동2 (차별전략, 설명)

6.전략

7.느낀점,결론,맺음말,후기

본문내용
우 한 쪽의 바퀴가 약 100mm 정도를 혼자 진행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필요한 지지대의 거리를 알 수 있었고, 그 길이에 맞추어 지지대를 달아놓았다. 여기에서 지지대는 앞쪽이나 뒤쪽 한 쪽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 필요하게 되므로 앞뒤 양쪽에 모두 달게 되었다. 그러나 지지대만을 달아놓을 경우에도 역시 실제로 경기장에서 실행을 시켜보니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 점은 바로 다리와 지면 사이의 높이차이었다. 여기에서 자동로봇2가 그 위를 지지대를 이용하여 통과하게 될 경우 앞쪽 모서리에 다리 부분이 찍혀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막기 위하여 바퀴의 앞쪽과 뒤쪽에 보조바퀴를 달게 되었다. 그렇게 하니 실제로 다리를 통과할 때에 다리 부분이 모서리에 찍히지 않고 조금 더 부드럽게 진행하였다. 확실하게 100% 통과한다고 하기에는 약간 부족하였지만, 그래도 다리를 따라 자동로봇2가 무리없이 지나갈 수 있게 되었다.


2) 집게
또 하나 이 로봇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은 집게였다. 집게의 경우에는 우주선물을 들어올리는 역할과 우주선물이 다리를 지나가는 동안 떨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 그리고 정확하게 지정된 위치에 떨어트리는 역할 이렇게 세 가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부분이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서보 모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는데,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보니 서보 모터를 2개 사용하게 되었다.

- 집게부분
집게부분은 위의 사진과 같이 V자 형태가 아닌 U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V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