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

 1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
 2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2
 3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3
 4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4
 5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5
 6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6
 7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7
 8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8
 9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9
 10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0
 11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1
 12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2
 13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3
 14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의 역사] 일제통치하 언론정책 및 선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보호 및 합방기에 있어서의 언론 ․ 선전정책



제 1절. 정치적 상황

제 2절. 사회적 상황 - 레지스탕스를 중심으로

제 3절. 통감부의 언론정책

제 4절. 통감부의 기관지와 선전정책

제 5절. 보호정책과 외국신문 논조

제 2장 ‘문화정치’하의 정치선전과 총독부 기관지 및 민족지의 언론

제 1절 정치적 상황

제 2절 사회적 상황

제 3절 문화정치

제 4절 언론통제

제 5절 기관지 ‘경성일보’의 논조와 기타 통치체제측 언론

제 6절 민족지 동아일보 및 기타 반통치체제언론


본문내용
- 무력탄압과 병행해 반 체제 세력에 대한 입법 조치 정리 및 강화
→한국정부법률 제 2호로 보안법 시행(1907. 7.), 합방 후에도 총독의 명령으로 효력 지속
법률 제 1호로 신문지법 공포, 개정
* 일본인에 대해서는 주로 언론활동을 규제하는 보안규칙(1906. 4.)이 있었으나 이것을 1907년과 1909년에 개정, 강화해 후에 통감부령으로서 신문지규칙, 1910년 5월에는 출판규칙 공포하여 언론 활동 봉쇄 노력
- 합방조약 체결 이후, 합방결정이 일반에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하던 일 당국은 엄중한 보도 통제 실시 → 민족지뿐만 아니라 일본인경영지가 합방을 언급하는 것도 경계 → 본국지를 포함한 출판물 일체가 매수, 발매금지됨 ⇒ “무 신문 상태”


제 2절. 사회적 상황 - 레지스탕스를 중심으로
- 여기서 다루는 문제가 보호와 합방 시기에 있어서의 사회주고, 계층 구성, 사상 상황을 통해 당시 여론의 동향과 언론활동을 구명하는 데 있음 → 지배적인 사회동인이었던 체제와 반체제, 즉 침략과 반항의 대립을 축으로 삼아 그 상호관계와 관련한 사회적 상황 검토해야
“반체제 측의 사회적 요인과 그 동향 파악”
- 이조말기의 사회 계급은 7계층, 지배구조는 귀족과 대지주에 의한 봉건적 전제제도. 이는 외부로부터의 자본주의 침입과 이에 일어난 농민 봉기 등 내부적 모순에 의해 붕괴됨. 이 때 사회 개혁을 이끈 것은 귀족, 지주 그리고 유생계급: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대부분이 이속출신의 지배 계급이었다는 것이 이를 입증, 한국의 근대적 개혁운동에서도 유사한 현상, 그러나 실제 혁명 운동의 핵심 세력으로서의 농민 대중의 역할 경시 X
- 한국의 근대적 개혁운동의 특징: 외래자본주의에 반대하는 민족해방운동과 밀접한 연관
당시 자주독립, 국권회복 등이 부국강병, 민중계몽 등 개혁운동의 심볼과 더불어 이 시기의 대표적 슬로건, 상호 연관. 다시 말해 자국의 국력 충실은 외국의 침략으로부터 자유를 지키는 대전제 따라서 부패한 이조 정권의 개혁과 민중의 계몽이 필요하게 된 것.
- 그러나 한국이 열강 자본주의의 쟁탈점이 된 현실에서 자주독립을 달성하기는 어려웠음. 따라서 현실적으로 독립은 국제 정세의 균형 속에서 일시적으로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유일한 답.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지배가 결정되었을 때 자주 독립은 저항으로 바뀌고, 부국강병 및 내정개혁은 독립과 구분.
- 이를 이토 히로부미가 보호정치시대에 정치적 목적으로 교묘히 이용, 선전 → 프로파간다의 테크닉으로서 유효: 부국강병 및 내정개혁을 통해 독립 국가로서의 발전을 도모한다고 하여 반체제 측과의 일시적인 합의 획득 성공, 이로써 저항 세력을 약화, 내정개혁의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