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표기법

 1  훈민정음의 표기법-1
 2  훈민정음의 표기법-2
 3  훈민정음의 표기법-3
 4  훈민정음의 표기법-4
 5  훈민정음의 표기법-5
 6  훈민정음의 표기법-6
 7  훈민정음의 표기법-7
 8  훈민정음의 표기법-8
 9  훈민정음의 표기법-9
 10  훈민정음의 표기법-10
 11  훈민정음의 표기법-11
 12  훈민정음의 표기법-12
 13  훈민정음의 표기법-13
 14  훈민정음의 표기법-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훈민정음의 표기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여는 마당
Ⅱ. 본마당
1. 표기법의 기본원리
2. 초성표기
1) 병서(竝書)
2) 연서(連書)
3. 중성표기
1) 부서(附書)
4. 종성표기
1)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2) 팔자가족용(八字可足用)
3) 겹종성
5. 음절표기
1) 사잇소리 표기
2) 성조 표기
3) 연철과 분철
4) 한자음 적기
Ⅲ. 맺는 마당
본문내용
2) 팔자가족용(八字可足用)

기본 형태를 밝혀 표기하는 종성부용초성법은 종성 표기의 추상적이고도 이론적인 원칙론에 지나지 않는다. 그 당시 실제적이고, 지배적인 표기법은 이 팔자가족용법이다. 팔자가족용법이란 형태소의 종성을 「ㄱ,ㄴ,ㄷ,ㄹ,ㅁ,ㅂ,ㅅ,ㆁ」의 여덟자로써 표기하는 방법이다. 우리말에서 종성의 장애음들은 휴지나 닿소리 앞에서 중화되는데 이 팔자가족용법은 중화된 대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이론적인 종성부용초성법의 원칙론에서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표기법인 팔자가족용법으로 돌아간 것이다.

다음은 훈민정음 해례본(解例本) 종성해(終聲解)에 나타난 구절을 위시해둔 것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그러나 ㄱㆁㄷㄴㅂㅁㅅㄹ 여덟 글자만으로도 종성에 가히 넉넉하게 쓸 수 있다.

▲ 如곶爲梨花의갗爲狐皮而ㅅ字可以通用故只用ㅅ字 예를 들면 ‘곶’(梨花), ‘의갗’(狐皮)에서 ‘ㅅ’자가 가히 통용되므로 다만 ‘ㅅ’자로만 쓰는 것과 같다.

여기서 보듯이 훈민정음 창제자가 종성(終聲)에 있어서 초성(初聲)의 모든 자음이 아닌 8자(八字)만이 가히 족히 쓰일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설명된다.

[ㅈ, ㅊ, ㅿ] → [ㅅ]
[ㅌ] → [ㄷ]
[ㅍ] → [ㅂ]
[ㅎ] → [ㄷ]

이러한 규칙은 다음의 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증명된다.

[ㅈ, ㅊ, ㅿ] → [ㅅ]
곶: 곳과 여름괘(석보상절 6:30)
낮: 밤낫 닐웨(석보상절 9:22)
갗:갓과 쾌 보랍고(월인석포 2:40)
빛:누네 빗 보며(월인 2:19)
:믉 나모(두시언해)
-:깃브거든 웃고(금삼 4:45)

[ㅌ] → [ㄷ]
참고문헌
* 참고문헌

백두현,「훈민정음과 중세한국어」, 복사본, 2010.
박종국,「훈민정음종합연구」, 세종학연구원, 2007.
이병운, 「훈민정음의 표기법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강길운, 「훈민정음과 음운체계」, 형설출판사, 1992
전정례, 김형주, 「훈민정음과 문자론」, 도서출판 역락, 2002
이덕일, “21세기 인문학 리포트 훈민정음,” 「매일경제」 2010년 10월 22일자
이종범,「중세국어문법론」,태학사, 1990
김동소, 「한국어의 역사」,정림사, 2003
김경애, 「15세기 국어 표기법의 교과지도방안연구」,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