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

 1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
 2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2
 3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3
 4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4
 5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5
 6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6
 7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7
 8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8
 9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9
 10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0
 11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1
 12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2
 13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3
 14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4
 15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5
 16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6
 17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7
 18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8
 19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19
 20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변천사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 제자원리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어 변천사』 조사 보고서
〈훈민정음의 판본
창제목적
제자원리
최세진의「훈몽자회」〉
이번「한국어변천사」시간에는 그 강의의 이름처럼 ‘한국어변천사’라는, 한국어가 아주 오래전부터 겪어온 변화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국어의 계통과 그 유형에서 다른 나라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국어의 계통적 위치 또한 찾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두와 구결, 향찰 그리고 훈민정음까지 한국어가 변화되어온 역사를 살펴보면서 더 나아가 현대의 한국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여기서는 수업의 연장선상에서 훈민정음의 판본과 창제목적, 제자원리 그리고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관한 자료를 조사ㆍ정리해보면서 그에 대한 이해를 높여보고자 한다.
1. 훈민정음의 판본
「훈민정음」이란 말은 서기 1443년에 창제된 글자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경우와 글자의 내용을 적어 놓은 책의 이름으로 쓰이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훈민정음 신연구 / 이근수 / 보고사 / 1997 p.28
여기서는 후자를 가리키는 바, 오늘날 전하는 훈민정음의 판본은 크게 한문본과 언해본으로 나뉠 수 있다.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 이동화 / 문창사 / 2006 p.65
많은 책들이 훈민정음의 판본을 한문본과 언해본으로 나누고 있다.
f
먼저,【세종대왕과 훈민정음】에서는 한문본을 우리가《훈민정음》의 원본이라고 부르는「해례본」과《세종장헌대왕실록》에 실린「실록본」이 있으며, 그밖에「배자예부운략본」「열성어제본」「경세훈민정음도설본」등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언해본인「훈민정음 주해본」에는《월인석보》권1 책 첫머리에 실린 세종어제훈민정음인「서강대학본」과「희방사본」「박씨본」, 그리고 사본인「일본궁내성본」등이 있다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박종국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문화문고 / 1989 p.174
. 다른 책에서도 명칭만 서로 다를 뿐, 이와 같이 판본을 분류하였다. 잠깐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화의【훈민정음과 중세국어】에서는 한문본 - ① 실록본 ②해례본 ③ 예부운략본, 언해본 - ① 월인석보본 ② 박승빈씨본으로 나누었다. 이근수의【훈민정음 신연구】에서는 먼저 해례본과 예의본으로 나누고, 예의본을 다시 ① 해례 첨가본 ② 실록본 ③ 예부운략본으로 나누었다. 또한 국역본으로는 ① 월인석보본과 ② 박승빈 구장본을 소개하고 있다. 전정례의【훈민정음과 문자론】에서는 월인석보본, 육당문고본(박승빈본), 일본 金澤庄三朗 소장본, 일본 궁내성 소장본, 훈민정음예의본(세종실록본), 훈민정음해례본(전형필본)으로 분류했다. 마지막으로 강신항의【훈민정음 연구】에서는 훈민정음의 이본으로 해례본, 실록본, 月印釋譜 권두본, 박승빈 씨 소장본, 排字禮部韻略 권두본으로 나누었다. 여기서는 각 판본을 하나씩 살펴보고자 한다.
1. 한문본
한문본에는 세 종류의 책이 있으니, 첫째 《훈민정음 원본》과 같이 세종대왕이 지은 본문(예의)과 정인지를 포함한 8인의 학자들이 풀이한 해례와 정인지의 해례 서문이 들어있는 것이 있고, 둘째「실록본」과 같이 본문과 정인지의 해례 서문만이 있는 것이 있으며, 셋째 「배자예부운략본」이나 「열성어제본」 및 「경세훈민정음도설본」과 같이 본문만 실려 있는 것 등이 그것이다.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p.17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