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

 1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1
 2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2
 3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3
 4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4
 5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5
 6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6
 7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7
 8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4.7.1 동아시아 문학의 판도
1. 한문제국
2. 문화교류의 이중성
3. 문학의 실상
4.7.2. 발해 문학의 위치
1. 발해의 건국
2. 발해의 대외관계
3. 발해인의 문자
4.7.3. 발해 시인이 남긴 작품
1. 양태사
2. 왕효렴
3. 인정(승려)
4. 정소(승려)
4.7.4. 신라 문학과 대외 관계
1. 시대의 흐름에 따른 신라와 당의 관계
2. 신라의 유학 열풍
3. 신라가 당나라에서 활동한 자취
본문내용
4.7.1 동아시아 문학의 판도

1. 한문제국
당나라 기간 동안 동아시아 전 영역에는 동질적인 문화가 뿌리를 내렸고, 그것은 한문과 한문학을 통해 표현되고 구체화되었다.

*통일신라- 당나라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독자적인 전통과 함께 발전시켰다.
*발해- 당나라와의 교류에서 신라와 경쟁했으며 일본과도 사신을 교환했다.
*일본- 당나라 문화를 힘써 받아들이면서 한문학이나 불교에서도 기존의 수준을 따르고자 하였다.

2. 문화교류의 이중성
① 공동의 문어로 보편적인 문화를 수립하였다. (詩-근체시, 文-고문)
사신을 왕래하면서 국서를 전달하고 시를 주고받는 관례가 있었다. 또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해서 빈공과라는 별도의 과거를 설치했다.
② 민족문화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ㄱ. 한문을 각기 다르게 읽었다.
ㄴ. 한문이면서도 각국의 어법을 살린 글도 썼다.
ㄷ. 한자를 빌려 민족어를 표기하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신라의 향찰, 일본의 가명, 월남의 자남
3. 문학의 실상
문학은 문(文)과 시(詩)로 나누어져 있었다.
① 문
ㄱ. 국서라는 외교문서
문체는 위진남북조시대에 발달한 변려문을 물려받는 것으로 장황한 수식이 용건보다 앞섰다. 수식의 수법과 격식의 정도에 따라 문화수준이 평가되었기에 나라에 따른 변용이 있기 어려웠다.
ㄴ. 한문으로 편찬하는 국사
국내용의 책으로 기술에 충실해야만 했기 때문에 자국어로 된 고유명사나 특수용어를 한문 이 아닌 그대로 표기했다. 또 한문이면서 자국어의 어순이나 어법이 섞인 문체를 사용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통사 1권, 조동일
한국의 한문학 제 1권, 이병도 엮음, 민음사, 1999
고전의 타작, 진경환, 월인
빌해를 다시 본다, 송기호, 주류성, 1999
발해문화연구, 방학봉, 이론과 실천, 1991
발해사자료전편, 손옥량, 서경문학사, 1993
한국사 9권 통일신라, 국사편찬위원회, 1996
한국사 10권 발해, 국사편찬위원회, 1996
남국신라와 북국발해, 이이화,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