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

 1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
 2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2
 3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3
 4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4
 5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5
 6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6
 7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7
 8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8
 9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9
 10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0
 11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1
 12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2
 13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3
 14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4
 15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5
 16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6
 17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7
 18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계학] GOODNESS OF FIT과 ANOVA를 통한 대학생 학생식당 이용 실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주제
: 명지인들의 학생식당 이용 실태

■ 가설 설정
1. 남학우가 여학우보다 이용횟수가 더 많 을 것이다.
2. 통학하는 학우가 기숙사에서 거주하는 학우보다 이용횟수가 더 많을 것이다.
3. 복학생이 재학생보다 이용횟수가 더 많 을 것이다.
4. 용돈 20만원 미만인 학생의 이용횟수가 더 많을 것이다.
(용돈? 통신비, 교통비, 기타 잡비를 제외한 사용 가능한 금액)

본문내용
■ 가설 3 증명
※ 가설 3 : 복학생이 재학생보다 이용횟수가 더 많을 것이다.
※ 모집단 : 모든 명지인
※ 조사표 : 당신의 학적 사항은?
당신은 한달에 몇 번 학생식당을 이용하십니까?
※ 표본 : 층화추출(전체모집단을 재학생과 복학생으로 층화시켜 표본추출)
※ 관찰방법 : 설문지
※ 표본분석 : 첨부 1의 q3, q5참고
Goodness of Fit

1~10
11~20
21~30
31~40
재학생
30
65
53
42
복학생
9
28
32
41

재학생 비율
0.157895
0.342105
0.278947
0.221053
기대값
17.36842
37.63158
30.68421
24.31579

통계량
4.032057
2.465145
0.056423
11.44782
18.00145

p-value
0.00044


ANOVA


Goodness of Fit에서 p-value가 0.00044이 나오는데 이 값은 유의수준(0.05) 이하의 값이므로 기각 할 수 있다. 즉 재학생과 복학생의 답변한 패턴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학생과 복학생 두 모집단으로 ANOVA를 구해본 결과 P값이 0.001159로 유의수준(0.05)보다 작기 때문에 기각할 수 있다. 또 F비가 유의수준에 입각한 F기각치보다 크기 때문에 기각할 수 있다. ANOVA의 결과 기각을 하므로 모평균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분산이 알려져 있지 않은 모평균차 추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보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