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

 1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1
 2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2
 3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3
 4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4
 5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5
 6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6
 7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7
 8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8
 9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9
 10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10
 11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사] 역대 중국여성들의 화장과 장신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歷代 中國女性들의 化粧

가. 선진시대(先秦時代)

나. 漢代

ᄀ. 피부화장

ᄂ. 눈썹화장

ㄷ. 입술화장

ㄹ. 기 타

다.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ᄀ. 피부화장

ᄂ. 눈썹화장


라. 隨ㆍ唐時代

ᄀ. 눈썹화장

ᄂ. 입술화장

ㄷ. 기타화장
ㄹ. 당대 여성의 화장 순서

마. 宋ㆍ元時代

ᄀ. 피부화장

ᄂ. 눈썹화장

ㄷ. 입술화장

바. 明ㆍ淸時代

ᄀ. 피부화장

ᄂ. 눈썹화장

ᄃ. 입술화장

Ⅱ. 中國女性들의 裝身具

가. 장식품

ᄀ. 귀걸이
ᄂ. 반지

ᄃ. 팔찌, 목걸이

ㄹ. 머리장식

나. 머리모양

다. 시대별 여성의 장식

ᄀ. 구석기, 신석기 시대

ᄂ. 古代 ~ 漢나라

ᄃ. 魏ㆍ晉時代

ᄅ. 唐나라

ㅁ. 宋ㆍ元時代

ㅂ. 明ㆍ淸時代



본문내용
다. 시대별 여성의 장식

ᄀ. 구석기, 신석기 시대
고고학적 발굴에 따르면 2만년 전 지금의 북경(北京) 주구점(周口店) 일대에서 백색의 돌구슬, 녹황색의 조약돌, 짐승의 이빨, 조개껍데기, 물고기 뼈 등이 발견 되었다. 사천성(四川省) 무산(巫山) 대계(大溪) 유적지에서도 귀걸이 64점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백옥, 상아, 터키석 등의 재질에 원형, 사다리형,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한 쪽이 열려 있는 고리 형태도 있다.

ᄂ. 古代 ~ 漢나라
고대 중국인들은 꾸미지 않은 순수한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춘추시대의 한 시구절 에는 ‘새싹처럼 보드라운 손에 빛을 머금은 듯 매끄러운 살결, 길고 깨끗한 목에 가지런하고 새하얀 치아, 넓고 반듯한 이마에 가늘고 긴 눈썹, 애교 섞인 고운 미소에 아름다운 두 눈이 초롱 초롱 빛나네’ 와 같은 표현으로 미의 기준이 묘사되어 있다.

진한시대에도 사대부 또는 서민여인들은 비교적 소박한 비녀를 하였고 진한시대의 한 기록으로 후한서여복지(後漢書輿服志)에서는 ‘비녀는 대모로써 적(擿)을 하였는데 길이는 1척으로 끝에는 화승을 하였고 아래는 흰 구슬을 달았다’라고 표현되어 있다.
노동을 하는 부녀들은 일반적으로 수건으로 머리를 싸매었을 뿐 어떠한 머리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하였다고 하더라도 간단하게 하였을 뿐이다.

ᄃ. 魏ㆍ晉時代
미의 기준은 한나라라는 과도기를 거쳐 질박함에서 화려함으로 변모하였다. 위진 시대에 들어선 후에는 성숙기에 접어들어 여인들 사이에서 몸단장이 유행하면서 장신구도 크게 발달하였다. 위진 시대, 특히 동진 시기에는 후한의 예법과 윤리 도덕이 붕괴되면서 귀족 여성들이 전통 사회에서 여자들에게 강요하였던 책임과 의무를 거부하고 자유분방한 생활을 추구하였다. 때문에 여성의 복식도 섬세한 장식을 강조한 화려한 양식으로 변모하였다. 위나라(삼국)에 조식(曺植)이 지은 ‘낙신부(洛神賦)’에서는 ‘세상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신비로운 복색은 마치 한 폭에 그림 같으니, 찬란하게 빛나는 비단옷에 푸른빛 감도는 옥구슬 귀걸이, 금비녀 옥비녀에 영롱한 명주로 단장하고는 고운 문양 수놓은 신을 신고 하늘하늘한 명주치마 휘날리며 가는구나’ 라고 표현하며 여인이 걸친 아름다운 의복과 장신구에 대해서 노래하였다.
그리하여 위진 시대에는 넓은 소매에 긴 치마, 길게 늘어뜨린 허리띠, 하늘하늘한 치맛자락, 고급스러운 소재의 큼지막한 머리 장식이 유행하게 되었다.
특히 머리장식의 발전이 이때에 이르러 표현이 뛰어나고 화려하게 되었다. 당시의 시를 보면 그 중 여자장식에 관한 것들이 많은데, 전원의 유녀편 중에는 ‘머리에는 금보(金寶)요, 귀에는 명월당(明月璫)을, 옥팔지는 흰 팔에 꼈는데, 취작(翠雀)은 고운 빛을 드리우네’ 라는 표현이 있다.
그 재료가 비싸고 이름이 많았는데 이전에는 없던 바였고 아마도 군중에 희첩이 많고 군사를 따라다니는 기녀들이 들끓었던 풍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머리에는 수식(首飾)이외에 또한 고운 ·꽃을 꽂는 것을 좋아하였고 그 향기가 사람에 배도록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귀족들이 막강한 부를 바탕으로 사치스런 생활을 추구했으며 희첩들도 많았으므로 여성들의 수식도 더불어 화려해졌다. 옥팔찌, 금가락지, 옥 귀고리, 비녀 외에도 향낭, 목에 매는 비단실, 비단신 등이 여인들의 아름다움을 더해주었다.
이 시기 머리 모양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영사계(靈蛇髻)와 빈발(鬢髮)에 대한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위나라 궁중에 창의성이 매우 뛰어난 여인이 두 명 있었다. 그 중 하나는 위 문제(文帝)의 견후(甄后)였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녀의 침실에는 뱀 한 마리가 살았는데 그녀가 화장을 할 때마다 똬리를 틀고 앉아 있곤 했다. 견후는 똬리를 튼 밴의 여러 가지 모양에서 영감을 얻어 변화무쌍한 영사계(靈蛇髻)를 만들어 냈다고 한다. 또 다른 한 사람은 궁녀 막경수(莫瓊樹) 였다. 그녀는 처음으로 薄鬢(박빈)을 만들어 뺨 양쪽 언저리에 약간의 머리를 남겼는데 이를 빈발(鬢髮)이라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