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

 1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1
 2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2
 3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3
 4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4
 5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5
 6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6
 7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 문화 콘텐츠로 본 한,중,일의 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한국의 무속신화 –당금애기와 바리데기
1. 바리데기
1)줄거리
2) 의미

2. 당금애기
1) 줄거리
2) 의미
3. 바리데기와 당금애기

Ⅱ. 중국의 벽산구모
1. 중국 신화의 특징
1) 신화와 역사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노동을 찬송하는 것이 많다
3) 완강한 의지와 자아 희생의 의지를 찬미한다
4) 억압과 시련을 견뎌내고 사랑을 추구한다.
2. 벽산구모 줄거리

Ⅲ. 모노노케 히메에 나타난 일본의 신화적 요소
1) 아이누 신화
2) 북방계 신화(시베리아 샤머니즘)
1. 모노노케 히메에 나타난 무속신앙
1) 사슴점
2) 돌의 신앙
3) 원령 사상
Ⅳ. 결론
본문내용
2. 당금애기
1) 줄거리
당금애기는 해동조선 제일 부자 장재비가 아홉 아들을 얻은 후 정성껏 빌어서 얻은 고명딸이다. 당금애기는 높은 담장과 열두 대문으로 겹겹이 쌓인 집안에서 외부세계의 부정으로부터 보호받으며 고이 자라난다. 그러던 어느 날 부모와 오빠들이 집을 비운 사이 한 스님이 찾아와 굳게 닫힌 대문을 차례차례 도술로 열고 시주를 청한다. 스님의 끈질긴 시주 요청에 당금애기는 쌀을 퍼주게 된다. 이 도승은 본디 하늘나라 사람으로 시준의 벼슬을 하던 신이다. 죄를 짓고 인간 세상으로 쫓겨나 유랑하다가 해동국에 이르러 당금애기 소문을 듣고 의도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그러나 터진 바랑이라 쌀이 새어 나왔고, 스님의 요청에 따라 당금애기는 땅바닥에 쏟아진 많은 쌀을 인내심 있게 한 알씩 주워서 담는다. 그렇게 하여 날이 저물고, 스님은 그 집에서 하룻밤을 묵게 된다. 이 일로 인해 당금애기는 처녀의 몸으로 임신을 하는데, 그 경위가 신비롭다. 스님이 마지막으로 땅바닥에 쏟아진 쌀을 줘 담고 남아있던 쌀 세 톨을 주워서 당금애기에게 먹였던 것이 바로 세 쌍둥이를 잉태하게 만든다. 임신한 사실이 부모와 오빠들에게 발각되자 당금애기는 죽음의 위협과 집안에서 내쫓기는 위기에 처한다. 오해와 고립 속에서도 당금애기는 아들 세 쌍둥이를 품고 낳아서 훌륭하게 키운다.
7살이 된 세 아들은 마침내 아버지를 찾아 나서고, 서역 서천국에 이르는 머나먼 길을 지나는 고초 끝에 아버지를 찾아낸다. 시준님은 이들의 이름을 첫째부터 형불이, 재불이, 삼불이라 지어주고 온 가족이 서천에서 모여 오순도순 살아가게 된다. 훗날 명이 다하자 시준님은 하늘로 승천하고 남아있던 세 형제는 조선으로 가 절을 짓고 죽어서 삼불제석님이 된다. 그리고 당금애기는 아기의 출산 및 생장을 주관하는 탄생의 신인 ‘삼신할머니가 된다.
< 경기도 양평군 제속본풀이의 내용 >

2) 의미
는 일명 로 유명한데 당금아기는 생산신, 삼불제석은 인간의 수복을 관장하는 신격에 대한 본풀이다. 는 무속을 비롯해서 불교와 신선사상이 한데 습합하여 이루어진 신화로, 하늘과 땅의 결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