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

 1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
 2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2
 3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3
 4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4
 5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5
 6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6
 7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7
 8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8
 9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9
 10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0
 11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1
 12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2
 13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3
 14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4
 15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5
 16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6
 17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7
 18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8
 19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19
 20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경영] ㈜SM 엔터테인먼트의 해외진출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SM 엔터테인먼트
2. 문화산업
2.1 문화산업의 정의
2.2. 문화 산업의 종류
3. 음악 산업
3.1. 음악 산업의 정의
3.2. 음악산업의 특징
3.3. 음악산업 분석
3.4. 음악산업 해외진출
3.5. ㈜SM 해외진출 동기 및 해외진출 시 유의점
4. ㈜SM의 해외진출
4.1. ㈜SM의 일본진출
4.1.1. 이수만의 CT론
4.1.2. 일본 시장 진출 배경
4.1.3. S.E.S의 일본 진출
4.1.4. 보아의 일본 진출
4.1.5. 동방신기의 일본진출
4.1.6. 소녀시대의 일본진출
4.2. ㈜SM의 중국진출
4.2.1. 중국 시장 진출 배경
4.2.2. 중국 음반 시장의 특징
4.2.3. 중국 진출 초기 전략
4.2.4. 동방신기의 등장
4.2.6. 슈퍼주니어의 등장
4.2.7. 중국 진출에 대한 평가
4.3. ㈜SM의 미국 진출
4.3.1. 미국 시장 진출 배경
4.3.2. 미국 음반 시장의 현황
4.3.3. ㈜SM의 미국 진출 전략
4.3.4. 보아 미국 진출 결과 : 실패
5. SM VISION 21
5.1. 문화 산업에 대한 전망
5.2. 세계화에 발맞춘 ㈜SM의 글로벌 전략
6. 참조문헌

본문내용
나. 준 공공재적 특징
음악을 다른 문화콘텐츠와 구분하는 또 다른 특징은 준 공공재적인 성격을 띤다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재는 비경합성,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다. 음악은 오래전부터 프로모션의 일환으로 라디오와 방송 송출을 통해 음악을 소비자들에게 제시해 왔으며, 카페, 식당, 백화점 등 공공장소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즉 음악 이용에 대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소비자도 음악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이 비재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음악의 비재제적인 특징은 인터넷, 통신, SNS, UCC등의 발전에 힘입어 더 크게 강화 되고 있다. 심지어 음악은 과거에 국가 간의 배제성은 존재했지만 이제는 이러한 국가 간의 배제성도 점차 사라지게 되어 국가 간의 문화적 이질감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음악의 비경합성으로 인해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여 음악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게 한다. 다시 말해 음악산업은 초기 고정비가 크고, 변동비가 매우 작아서 음악을 많이 생산할수록 단위당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더 큰 시장으로의 진출을 유인하게 된다.

다. 음악 레이블의 강력한 시장 지배력
음악은 당초 예술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상업화의 과정을 거쳐 현재의 음악 산업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통상 음악을 창작하는 주체인 가수, 작사가, 작곡가 등의 아티스트가 음반제작이나 프로모션, 유통에 직접 관여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작업과정을 자신이 소속한 음반 레이블에 위임하는 형태를 띤다. 이 때문에 음악 레이블은 음악 콘텐츠의 창작-음반 제작-제품 판매의 全과정을 총괄하며 시장 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가장 강력한 사업자로 군림해 왔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시장 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음악 레이블을 통하지 않는 음악 상품은 경쟁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라. 디지벌 불법 유통에 취약
영상 콘텐츠에 비해 한 개의 완결된 음악 파일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송시간은 단 수십 초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면서 문화콘텐츠 중 가장 먼저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음악콘텐츠였다. 이 때문에 DRM 적용을 비롯하여 무료 광고 모델 도입, 단말기 번들 서비스 등 합법적인 음악 유통 확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음악 파일의 불법 유통은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에는 각국 정부기관에서 불법 콘텐츠 유통을 저지하기 위한 법적 규제 마련에 나서고 있으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합법적인 콘텐츠 이용을 독려하는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음악 시장 양성화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3. 음악산업 분석


음악산업 매출액은 2조6,020억원으로 2007년 대비 10.4%증가, 연평균(2006년~2008년)4.1% 증가하였다. 이는 온라인음악유통업과 음악공연업 매출액 증가에 기인한다.
중분류별 매출액을 보면 ‘음악제작업’은 3,210억원(12.3%)으로 전년대비 18
참고문헌
6. 참조문헌

www.smtown.com
http://www.paperkun.com
http://4camel.net
http://www.kmcia.or.kr
http://www.globalwindow.org
장세진. 2005년 8월
김수정. 2006년 12월
김진문. 2009년 2월
유리아. 2009년 7월
국제음반협회(IFPI). 2009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 2009년
KTB투자증권. 2009년
삼성 경제 연구소 정경옥. 2010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