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

 1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1
 2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2
 3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3
 4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4
 5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5
 6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6
 7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7
 8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임진록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쟁점 검토

(1) 장르론

(2)주제론

2. 창작 시기

3.작자

1) 역사계열

2) 최일영 계열

3) 관운장 계열

4. 줄거리

5. 이본(異本)

6. 작품 분석

7. 소설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2)주제론
주제의 사전적 의미는 작자가 작품을 통해 그려내려는 주요한 제재나 중심이 되는 내용이다. 정의를 내리기는 간단할 듯하지만 임진록에 있어서 주제를 정확히 찾아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많은 이본이 있는데다 대부분 작자가 미상이고 창작년대조차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결국 작가론에 기대지 못한 채 여러 이본들을 대상으로 주제를 축출할 수밖에 없는데 이본마다 주제를 달리 설정한 것인가 아니면 전체 이본을 대표하는 단일한 주제를 설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관건이다.
1) 현실적인 패배를 정신적인 승리로 승화시켰다(김태준)
2) 정신적인 승리를 고취하고 민족의 반성을 촉구했다(소재영)
3) 민족 내의 계층적인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담았다(임철호)
임진록에 대한 주제는 문학 외적인 목적에 입각하여 제시되다가 작품 자체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구조적 계열별 의미를 탐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목적론에 매몰되어 있을 때는 주제가 천편일률적으로 단일했고 작품에 근거를 둘 때는 주제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주제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대상 자료의 범위, 연구의 시각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었으나, 이것은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고 본다.

2. 창작 시기

의 창작시기는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의 창작시기에 있어서는 이순신 계열이 1795년에 간행된 ‘충무공전서’의 행록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1795년 이후에 창작된 것은 확실하지만, 창작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작품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하여 문학사적인 맥락에서 창작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란 작품이 지니는 특성은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형식과 내용면에서 볼 때 은 여타의 고전소설과는 판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
참고문헌
참고문헌
임철호, 임진록의 전승과 구비설화, 1999
권혁래,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성격, 박이문, 2000
임철호, 임진록 이본연구 Ⅰ, 455~461쪽 참조
권혁래,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성격, 박이정, 2000
권혁래,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소고, 열상고전연구 Vol.10 No.1, 1997

논문
신태수, 임진록연구의 현황과 전망, 문학과언어학회, 문학과언어, 제11집 1990.5, pp. 235~260(26pages)
소재영, 임진록(壬辰錄)」군(群)의 형성(形成)과 민중의식(民衆意識)의 변모(變貌)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61권 1973.7, pp. 98~104(7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