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

 1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1
 2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2
 3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3
 4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4
 5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5
 6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6
 7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7
 8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 이문열 `금시조`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소개
2. 줄거리 요약
3. 시대적 배경
4. 인물분석
1) 주요 인물 분석
2) 고죽과 석담의 관계
5. 소설포인트
1) 금시조의 의미
2) 고죽과 석담의 예술관
3) 주요 사건의 의미
4) 단어의 상징성
6. 주제
7. 총평 : 잘 쓴 소설인지
8.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소설포인트
1) 금시조의 의미
소설 외적 의미: 금시조는 가루라라고도 불린다. 금시조의 깃털은 장엄한 보광(寶光)을 발하며 머리 위에 하나의 커다란 혹이 있는데 이 혹이 바로 여의주(如意珠)이다. 이 새의 울음소리는 슬프고 처량하다. 금시조는 매 끼니마다 한 마리의 용왕(龍王)과 500마리의 새끼 용을 잡아 먹는다고 한다. 금시조는 죽을 때 허공을 아래 위로 7~8회 몸을 뒤집으며 날다가 금강륜산(金剛輪山)의 정상에서 최후를 맞이한다. 금시조는 용(毒蛇)을 먹었기 때문에 몸 속에 독기가 많이 축적되면 그 독기로 자신의 몸을 태워버린다고 한다. 육신이 불타고 남은 자리에는 가루라의 심장만이 남는다. 그 심장은 파란 색이며 유리처럼 투명하다고 한다.
소설 내적 의미: 가루라 전설에서 금시조가 몸에 독기가 쌓여 그 독기로 자신의 몸을 태우고 자신의 '심장'만을 남겨 죽는 것은 소설 속에서 '고죽'이 그간 자신의 분신과 같은 자신의 '서화더미'를 태우는 장면과 깊은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금시조'는 '영원한 예술의 본질'을 표상하는 전설의 신이다. '자신의 몸'을 독기로 스스로 태우면서 '심장'만을 남기는 것은 가장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예술성을 추구와 획득으로 해석 될 수 있다. 그것은 아이러니 하게도 그동안 자신이 이루었던 예술성의 존재를 소멸시키는 것으로 추구되는 것이기도 하다.

2) 고죽과 석담의 예술관
‘글을 씀에, 그 기상은 금시조가 푸른 바다를 쪼개고 용을 잡아 올리듯 하고, 그 투철함은 향상이 바닥으로부터 냇물을 가르고 내를 건너듯 하라.......’ 이러한 높은 수련의 목표는 관념적인 것이기는 해도, 서도가로서 최고의 정신적 경지를 겨냥하는 자세가 깃들여져 있음을 알게 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동양적 정신 자세에는 서도가 솜씨나 명예가 아닌 도의
참고문헌
8. 참고문헌
이문열, 『문학상 수상 작품집』, 청어와 삐삐, 2002
김욱동, 『이문열 -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의 문학』, 민음사, 1994.
김윤식, 『이문열 론』, 삼인행, 1991
우한용, 「이문열의 읽기 -문학교육의 시각으로-」, 서울대학교, 2005
이성애, 이승하, 「이문열의 예술가소설에 나타난 "도(道)"의 의미 -「금시조」, 「시인」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2009
이정숙, 「예술가 소설과 그 미학적 가능성; 금시조를 통한 문체 검증」, 한성대학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