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

 1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
 2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2
 3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3
 4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4
 5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5
 6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6
 7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7
 8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8
 9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9
 10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0
 11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1
 12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2
 13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3
 14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4
 15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5
 16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6
 17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7
 18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8
 19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19
 20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이론] 문학이론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1.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의 개요

a. 목적

b. 새로운 이론

Chapter 1. ‘영문학’ 연구 시 해야 할 일

Q. 왜 특별히 이 연구를 해야 할까?

본론2.
1.1. 한국문학 연구의 개인적인 목적

1.2. 당신 자신의 동기가 이 과목을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선택하는 이유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1.3. 당신의 동기는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1.4. 이 과정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1.5. ‘정전’

1.6. 당신, 국어로 문학을 읽고 공부하다.

1.7. 한국문학 연구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 및 토론 거리

결론


본문내용
서론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한국의 학생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문학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단 한번의 진지한 고민 한번 해보지 않은 채 문학을 받아 들여왔다. 한국 학교의 문학공부는 가르치는 대로 쓰고 외우고 정답을 다는 것이었다. 사고력을 측정한다는 수능에서마저 정답이 있고 정답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배워야했다.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국어교육학을 공부하러 대학원에 온 지금에야 문학을 공부하는 목표는 나름대로 갖고 있지만, 아직도 문학을 어떻게 연구해야하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한 확신이 없다.
그런 우리들에게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는 한국문학을 공부하는 개인적인 목적과 한국문학코스에서 요구하는 목적, 너무나 안이하게 생각했던 한국문학의 범주와 한국문학에서 정전의 존재 등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었다. 무엇보다도 다시 한번 각자가 왜 한국문학을 택했는지 돌아보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 깊었던 활동이었다. 다만, 부족한 영어 번역 실력으로 인해 나름대로 이 Text의 전체적인 아이디어를 이해하고자 애썼지만, 세세한 활동에서 몇몇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과 영문학과 한국문학사이의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여 독자적으로 활동과 판단을 한 부분도 있다. 전체를 영어번역서의 순서를 따라 한국문학에 적용한 활동을 삽입하되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가 목표하는 바인 문학연구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해야 하는지?’를 우리 나름대로 확인하는데 본 보고서의 목적을 두었다. 하지만, 해당 원서의 첫 번째 단원에 해당하는 부분이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론보다는 우리가 평소에 문학연구에 가져왔던 편견을 깨고 새롭게 관점을 가져보자는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 역시도 무척 신선한 충격과 감화를 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문학 연구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토론할 거리들에 대해 나름대로 의견을 제시하면서 끝을 맺어보았다.
여기에서 용어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우리가 흔히 ‘국문학’이라고 지칭하는, 대학이나 학교 등에서 운영하는 한국문학의 코스는‘국문학’이라는 고유명사를 썼지만, 지향해야할 바는 한국인 중심의, 우리만의 문학이 아니라 세계문학 속의 한 부분인 ‘한국문학’이라는 용어이기에, 일반적인 용례에서는 ‘한국문학’이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본론1.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의 개요

a. 목적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는 문학의 하나의 새로운 연구 가이드이다.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는 문학을 연구하면서 부딪치게 되는 세 가지 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해야 하는지? 를 연구하고 그 문제를 풀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교과서나 연구록은 문학 연구에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들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는 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문학’은 특정한 하나의 장소, 특정한 시간에서 연구되어지며 ‘책’은 우리가 어떻게 이곳에 있는지, 다음 우리가 가야할 곳은 어디인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지식과 사회의 모습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 책은 문학 연구의 현존하는 틀의 발전에 관한 역사적 비판적 문제들, 그리고 다른 연관되는 문제점들에 관한 물음을 던지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한다.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에서 우리는 확고한 문학 연구의 시각을 가지게 된다. 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연구가 무엇인지, 어떻게 이루어지게 된 것인지, 그리고 그 연구를 통해 어떠한 것들을 배울 수 있게 될 것인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실행으로써의 문학 연구"(Literary Studies in Action)과 같은 새로운 종류의 연구 지침을 소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배경이 있다. 문학연구는 여러 학문적 이론들 중 가장 광범위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 우리의 활동과 신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과거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시각은 현재에서 하나의 유효한 영향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영향력은 주로 매우 유익한 것이나 때때로 우리로 하여금 분석할 수 없게 만들고 현재의 새로운 혹은 다른 개념과 해석들이 가지는 상태를 거부하거나 개조할 수 없게 하는 역사가 가지는 것과 같기도 하다. 현재는‘끝나지 않은 일’로서 직접적으로 과거와 연관되어 있다. 문학 연구의 많은 전통적인 방법들은 낡은 방법들과 정통을 밀어내기 힘들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나 그런 방법에 대한 비판을 대체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진지하게 문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학문의 분야가 요구하는 전문적인 기술을 갖출 필요가 있다. 연구가 의미있게 되기 위해서는 지식과 사상의 더 넓은 방식에 맞아 들어갈 수 있는지 정보에 근거한 시각을 발전시킬 필요도 있다.

b. 새로운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