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

 1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1
 2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2
 3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3
 4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4
 5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5
 6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6
 7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7
 8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8
 9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9
 10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10
 11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11
 12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사] 제주 4.3에 배경과 책임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제주 4·3의 명칭과 성격
II. 제주 4·3의 배경
1. 중앙의 정치상황
2. 3·1 사건
3. 3·10 민관총파업
4. 제주도 수뇌부의 교체와 민중에 대한 탄압
5. 남로당 제주도 위원회
III. 제주 4·3의 책임 소재에 대하여
1. 남로당
2. 이승만과 경찰
3. 미군정과 미국
IV. 제주 4·3의 의미와 교훈
본문내용
I. 제주 4·3의 명칭과 성격

'제주 4·3'에서 '4·3'은 제주도 무장대가 단선(單選), 단정(單政)의 반대와 조국의 자주 통일, 극우세력의 탄압에 저항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미군정 경찰과 서북청년단 등을 향해 본격적으로 공격을 개시했던 1948년 4월 3일을 가리킨다. 4월 3일 이후로 수년간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충돌이 있었고, 1948년 말에 시작된 소위 '초토화 작전'에 의해 수많은 양민들이 토벌대에 의해 희생되는 참극(慘劇)이 벌어졌다.
'4·3'의 발발에서부터 경과에 대한 내용들은, 학살지(虐殺地)의 발견, 생존자 및 관련자들의 증언, 관과 미군측 자료 발굴에 의해 차츰 밝혀져 왔다. 그러나 통일운동의 성격(단선, 단정 반대)과 자주독립운동의 성격(친일파 척결, 반미자주)을 가진 '4·3'이 어떤 배경 속에서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 살피는 것은, 문제의 핵심을 찾아내어 오늘과 후세에 교훈으로 삼을 수 있게 하는 일로서 세세한 자료 발굴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다음을 중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첫째, 4·3의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4·3이 일어나게 된 이유를 이해한다. 당시 제주도 내의 상황들과 중앙 및 국제 정치의 흐름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어 고찰해야 할 것이다. 또한 4·3의 주도적 역할을 맡았던 '남조선노동당 제주도위원회'는 어떤 기능을 담당했는지 살펴봄으로써 4·3 발발의 원인을 추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명림, 「민주주의, 이성, 그리고 역사이해 : 제주 4·3과 한국현대사」『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1999
서중석, 「광주학살·광주항쟁은 민족사의 분수령이었다」『역사비평』제5호, 역사비평사, 1989. 여름
-----,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제주 4·3 연구』, 역사비평사, 1999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1
양정심, 「제주 4·3 항쟁에 관한 연구 : 남로당 제주도 위원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제민일보 4·3 취재반, 『4·3은 말한다- , 』, 전예원, 1994
조남현, 『제주 4·3 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