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이 갖는 문화

 1  색이 갖는 문화-1
 2  색이 갖는 문화-2
 3  색이 갖는 문화-3
 4  색이 갖는 문화-4
 5  색이 갖는 문화-5
 6  색이 갖는 문화-6
 7  색이 갖는 문화-7
 8  색이 갖는 문화-8
 9  색이 갖는 문화-9
 10  색이 갖는 문화-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색이 갖는 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색의 기원과 상징
(1) 색의 기원
(2) 색의 상징성
(3) 색의 연상성

2. 한·중·일의 색이 갖는 의미
(1) 한국의 색
- 백의민족, 레드컴플렉스
(2) 중국의 색
(3) 일본의 색
(4) 나라별 선호색과 혐오색

3. 국기에 담긴 색의 의미
(1) 국기속의 빨강
(2) 국기속의 노랑
(3) 국기속의 녹색
(4) 국기속의 파랑
(5) 색 선호와 국기의 색


Ⅲ. 결론
본문내용
2. 나라별 색이 갖는 의미와 발달과정

(1) 한국의 색
- 백의민족
우리 민족을 상징할 수 있는 색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흰색이 49%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아, 우리 한민족과 흰색은 역시 뗄 수 없는 관계임을 다시금 입증시켰다. www.kcri.or.kr의 설문조사 인용
우리는 백의민족이며 여백의 미를 사랑한다고 전해지며 디자이너의 상당수도 그렇게 인식하고 응용하고 있다.
백색에 대한 조선시대의 선호는 대단한 것이었다. 흰옷은 무색, 소색의 이미지이며 자연에의 동화이며 삶이 자연 그 자체인 것이라고 여겨왔다. 선조들은 자기의 감정을 즉각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은 점잖지 못한 것으로 여겨왔고, 본능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얼굴색이 푸르락붉으락 하나는 것은 일종의 색이 있음을 뜻하며, 이것은 점잖지 못함으로 인식했다. 그래서 백색은 자연에 귀착하는 것, 자연과의 동화이며 결과적으로 원색에서 탈퇴하고 채색을 금하는 사고방식으로 발전되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검은색, 회색 등 백색조의 무채색계를 선호하는 기호반응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국전통문양의 연구 - 임영주, 디자인 포장(1974)
백색을 입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명종 이후 국상이 겹쳤고, 당시 국상의 경우 국민전체가 길게는 3년간 백의를 입었으므로 그 이후 계속되는 백의 생활로 풍속을 이루게 되었다는 기록이다. 잦은 국상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무엇보다 백색숭배사상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다. 일부 매스컴에서는 염색기술 부족을 운운하며 우리의 색체문화를 내려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일본의 식민사상 잔재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도 된다. 실제 우리의 고려 ~ 조선 중기까지의 의복은 화려하고 배색이 아름답다. 한국의 사계절이 뚜렷함으로 인해 각 계절의 풍부한 색감을
참고문헌
* 참고문헌
하룻밤에 읽는 색의 문화사 - 21세기연구회, 예담(2004)
미셸 파르투로의 색의 비밀 - 미셸 파르투로, 미술문화(2003)
컬러비즈니스 Color Smart - 미미쿠퍼, 오늘의 책
공예재료의 연구 - 장윤우 (1976)
한국전통문양의 연구 - 임영주, 디자인 포장(1974)
색의 정신세계 - 유관희, 태학원(2007)
나의 월드컵日記-50代가 20代에게 보내는 祝電 - 월간조선 2002.6
붉음의 미학 - 주강현, 한국일보 2002.02.2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