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

 1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1
 2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2
 3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3
 4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4
 5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5
 6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6
 7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7
 8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8
 9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9
 10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CWC와 BWC] 화학무기금지협정과 생물학무기금지협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화학무기금지협약(Chemical Weapons Convention)
Ⅱ. 생물학무기금지협약(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Ⅲ. CWC, BWC가 갖는 문제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제 1차 세계대전시 현대 화학전의 의미로 화학무기가 사용되어 비인도적 대량살상무기로서 비약적인 발전과 확산을 불러 일으켰다. 이에 따라 세균무기나 독소, 화학 작용제 등과 같은 비인간적인 무기를 전쟁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자하는 인류의 노력은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초기의 독성무기 사용금지 조약들은 전쟁수단으로 화학무기를 포함한 이들 독성무기들의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단순히 선언적 의미 이상을 넘지 못했다. 그리고 생물무기 또한 최근 유전공학기술의 급진전으로 그 존재가 새로이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구소련의 생물무기 개발사례, UNSCOM에 의해 밝혀진 이라크의 생물무기 개발의도, 최근 일본 옴진리교 사건 등에 의해 위협을 보다 현실적으로 느끼게 되었다. 1889년 전시 질식가스 발사체의 사용을 불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헤이그조약으로부터 1975년 생물무기금지협약(BWC), 1993년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이르기까지 대량살상무기의 감소·철폐를 위한 노력은 계속 되고 있으나, 그 결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본론에서는 CWC와 BWC를 중심으로 한 대량살상무기 감축의 과정을 살펴보고 21세기를 살아나갈 우리의 자세에 대해 언급하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국방연구원, 김경수 외 3, 「국제비확산 체제와 한반도 대량살상무기 통제」, 1996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 「2차 세계대전 전후 한반도 주변국의 생물무기 -일본, 미국, 소련을 중심으로」, 2000
-한국국방연구원, 김환청 외 2, 「국제화학무기금지협약 초안 검토」, 1992
-생산기술연구원, 「화학무기금지엽약 안내서」, 1995
-국방부, 「대량살상무기(WMD)문답백과 화생방·미사일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999
-조선대 정책대학원, 김강현, 「화학무기금지협약과 생물학무기금지협약에 관한 연구 :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책을 중심으로」,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