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

 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
 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2
 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3
 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4
 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5
 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6
 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7
 8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8
 9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9
 10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0
 1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1
 1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2
 1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3
 1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4
 1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5
 1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6
 1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와 현대가요속 이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고려가요

Ⅲ. 가시리

Ⅳ. 서경별곡

Ⅴ. 현대가요와의 비교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우리들의 의견으로 재구성한 현대적 의미의
혜교와 현빈은 오래 사귄 사이이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현빈이 예고치 않은 이별을 고한다. 혜교는 속으로 너무나 가슴 아파하며 그를 끝까지 붙잡고 싶어한다. 그녀의 삶에서 그가 없어진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하지만 그녀는 차마 그를 붙잡지 못한다. 붙잡고 매달리면 그가 자신을 더욱 더 싫어할 것 같은 두려움 때문이다. 평소 그에게 많이 의지하고 따랐던 그녀는 자신의 감정보다 그의 일과 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한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고, 끝까지 자신의 감정을 억누른다. 현빈은 이별을 고하고 혜교를 완전히 떠나버리지만, 그녀는 가라고 보내주면서도 기다리는 마음을 버리지 않는다.

Ⅳ. 작품해석 - 서경별곡
1) 전문가의 관점에서 본 에 나타난 이별의 양상과 수용의 태도
① 박혜숙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고전시가작품론: 白影 鄭炳昱 先生 10週期 追募 論文集. v.1』, 集文堂, 1992, pp.293-295

서경별곡은 음악적으로는 14연의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통사론적·문학적으로는 다음의 세 단락으로 나뉘어진다.

서경이 셔울히 마르는
닷곤 쇼셩경 고마른
여므론 질삼뵈 리시고
괴시란 우러곰 좃니노이다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힛 그츠리잇가
즈믄를 외오곰 녀신
信잇 그츠리잇가

대동강 너븐디 몰라셔
내여 노다 샤공아
네가시 럼난디 몰라셔
녈예 연즌다 샤공아
대동강 건넌편 고즐여
타들면 것고리이다

제1단락에서 여성화자는 자신을 버리고 떠나는 임에게, 비록 서경이 잘 닦여진 작은 서울로서 마음에 들지만 임이 자신을 사랑한다면 짜고 있던 길쌈베도 다 버리고 임을 따르겠다는 염원을 표현하고 있다. 정든 고향이나 일상적 삶을 모두 선뜻 포기할 수 있을 만큼 임을 향한 서정적 주인공의 사랑이 강렬한 데 반해 그 사랑은 현실적으로는 결국 파탄에 이를 수밖에 없기에 사랑의 비극이 한층 강도 높은 심상을 형성하고 있다.
제2단락에서는 이별에 직면한 서정적 주인공이 임과 영원한 이별을 할지라도 님에 대한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박병채,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박춘우, 󰡔한국 이별시가의 전통󰡕, 도서출판 역락, 2004,
박병채,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1994,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 추모 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고전시가작품론: 白影 鄭炳昱 先生 10週期 追募 論文集. v.1』, 集文堂, 1992,
양태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2003,
국어국문학회, 『고려가요 · 악장연구』, 태학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