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

 1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
 2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2
 3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3
 4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4
 5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5
 6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6
 7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7
 8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8
 9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9
 10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0
 11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1
 12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2
 13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3
 14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4
 15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5
 16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6
 17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7
 18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변동과 미래사회] 시민사회-랄다렌도르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민사회론의 사상사적 흐름
들어가는 말
1. 자유주의 시민사회관
2. 욕망체계와 부르주아 사회로서의 시민사회관
3. 헤게모니와 생활세계로서의 시민사회관
Ⅲ. 랄프 다렌도르프의 생애와 이론적 배경
1. 랄프 다렌도르프의 생애
2. 다렌도르프의 이론의 배경과 입장
3. 다렌도르프의 역사관
4. 다렌도르프의 사회관
Ⅳ. 다렌도르프의 시민사회
1. 다렌도르프의 문제의식
2. 시민사회의 개념
3. 시민사회와 국가의 관계
4. 시민사회의 방향
5. 시민사회의 미래전망
6. 비판점
Ⅴ. 한국사회에의 시민사회 적용
1. 한국시민사회의 특수성
2. 한국시민사회의 구조적 취약성
3. 바람직한 시민사회의 모습과 과제
4. 글로벌 시민사회 (NGO중심으로)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97년 다렌도르프는 「After 1989」에서 사회주의의 붕괴 이후 동구의 변혁을 관찰하면서 동구의 혁명이 반드시 희망적인지는 아직 확신할 수 없지만 시민권과 시민사회가 선거나 시장보다 더 중대한 진전을 보여준다고 평가하였다. 탈냉전의 확실한 증거가 시민사회의 발전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다. 현시대를 탈냉전의 종식의 확실한 증거로서 나타나는 시민사회의 발전을 지적하는 다렌도르프의 시민사회를 알아본다.
시민사회 개념에 대한 사상사적 논의를 살펴보는 가운데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 개념이 사상가를 중심으로 또한 시대적․역사적 맥락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시민사회는 하나의 정립된 개념이 아니라 지속적인 논의 과정 속에 있는 동적인 흐름을 가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다렌도르프의 시민사회 이론 역시 앞선 논의들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며, 기존 논의에서 발전된 영역과 현실에의 적용단계에서 보일 수 있는 취약점을 살펴봄으로써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가 선행될 때 시민사회의 개념은 사상사적 흐름을 추이해보는 소극적 연구를 넘어서서 한국의 시민사회 개념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서구 사회가 비교적 순차적으로 경험한 것을 한국사회는 짧은 기간 안에 압축적으로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사회는 중층적인 성격을 띠지 않을 수 없었다.
참고문헌
․ 랄프 다렌도르프, 김병서 저 『삶의 기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 랄프 다렌도르프, 정대연 저 『산업 사회의 계급과 계급 갈등』, 서울: 홍성사, 1980
․ 랄프 다렌도르프, 황성기 저 『변동기의 신자유: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것인가』,
근익서재, 1979
․ Ralf Dahrendorf, 『After 1989: morals, revolution, and civil society』, New york: St martin's Press in association with St. Antony's college, Oxford, 1997
․ 스티븐 사이드먼, 박창호역. 『지식논쟁』. 문예출판사, 1999.
․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서울 : 한울 , 2001
․ 박상필 외 공저, 『NGO와 현대사회 : 비정부·비영리·시민사회·자원 조직의 구조와 동학』
서울 : 아르케, 2001
․ 하일민, 『시민사회의 철학』, 서울 : 한길사, 1995
․ 이신행 외 공저, 『시민사회운동 : 이론적 배경과 국제적 사례』, 서울 : 법문사, 1999
․ 홍사중, 『근대시민사회사상사』, 서울 : 한길사, 1997
․ ‘참여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2002)’ 김경동 외 저. 시민사회포럼
중앙일보 시민사회 연구소
․ 강대현, 현대사회에 적합한 시민사회론과 한국시민사회 분석 틀 모색(2001), 한국사회과학교육학회
․ 박성혁, 『한국 사회의 규범문화적 전통과 시민사회의 발전』,한국사회과학교육회,1996
․ 운성석, 이삼성, 『한국의 시민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발전』, 한국동북아학회,2002
․ http://blog.empas.com/ejbae21/1251103
․ http://ngo.joongang.co.kr/forum/frame_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