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

 1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1
 2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2
 3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3
 4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4
 5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5
 6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재료공학] 논문요약-건축 재료의 선택이 건물의 총 에너지와 Recycling potential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논문요약에 앞서)
1. 소개
2. 목표
3. 연구대상
4. 방법
5. 결과
6. 논의
7. 결론

References
본문내용
5. 결과
몇몇 건물의 Embodied Energy 를 최소화 혹은 최대화하기 위해 디자인을 변경하였다. 재 디자인을 할 때 U-value값을 고정시키기 위해 강화 단열재나 추가 재료가 사용된다.
이렇게 U-value값의 고정을 통해 기존 디자인과 재 디자인의 Embodied Energy 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공급재료를 제외하고 기존의 디자인과 비교할 때 Minimum re-design에서는 Embodied Energy 가 약 17% 감소하였고, Maximum re-design에서는 약 6% 증가 하였다. 반면에 공급재료의 양은 minimum re-design에서 약 7%, 그리고 maximum re-design에서 약 17% 감소한다.
이것은 건축에 필요한 총 에너지에서 공급재료가 차지하는 부분이 minimum re-design에서는 증가하고 maximum re-design에서는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Table. 2와 Fig. 2를 통해 알 수 있다. 각 건축 재료들의 Embodied Energy 는 Figs. 3-5에 제시되어 있다.
건축에 필요한 총 에너지와 재활용률 모두 minimum과 maximum re-designs에서 증가한다. 그러나 건물 전체에 재활용을 적용하면, minimum re-design은 처음 디자인보다 거의 20%가량이나 Net Energy 를 낮출 수 있으며, maximum re-design은 초기 디자인보다 대략 5%정도 Net Energy 를 낮출 수 있다.

6. 논의
Embodied Energy의 데이터 값이 실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데, 이 실험에서 사용한 데이터들은 신뢰 할 만한 수준이다. 하지만 이 실험에서 사용한 데이터 개별적인 값의 비교는 특정 영향에 대한 비교를 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번 실험의 정확도로 보아, 재 디자인 건물에서의 난방에너지는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Embodied Energy 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다른 건물에도 적용이 될 수 있으나,그 효율은 건축 프레임(frame )에 적용하는 것보다 슬래브(slab )에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벽의 경우 대부분의 기둥이 있는 벽에는 적용가능하고, 옥상녹화(green-roof)의 경우 바람이 약하고, 경사각이 0~27도 사이인 지붕자체의 단열성이 뛰어나지 않은 지붕에서 큰 효과를 보여준다[12].
옥상녹화의 경우 여러 가지 영향을 끼치는데, 그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도시지역에서 ‘빗물’의 손실을 지연시키는데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새, 곤충들의 서식처를 제공 할 수 있다.
(3) Aerosols을 걸러준다.
(4) 증발로 인한 지붕온도 감소를 통해 지역의 미기후를 개선시킨다[13].
환경에의 작용과 자재의 사용에 관한 논란도 있다. 환경에의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석고보드(gypsum wall)의 두께를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더 많은 기둥을 필요로 하여 기둥사이의 공간을 줄어들게 만든다. 이 연구에 따르면 기둥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때마다 Embodied Energy가 55MJ/m2 만큼 줄어든다. 하지만 환경에의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석고보드(gypsum wall)의 두께를 줄이면 기둥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오히려 Embodied Energy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대립은 ‘sustainable construction’과 관련된 여러 흥미로운 논란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References

[1] Nielsen P, et al. Energi- og miljo¨ analyser af bygninger. (In Danish Energy-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buildings) SBI-medelelse 108. Ho¨ rsholm, Denmark: Danish Building Research
Institute;1995.
[2] Winter BN, Hestnes AG. Solar versus green: the analysis of a Norwegian row house. Solar
Energy 1999;66(6):387–93.
[3] Thormark C. A low energy building in a lifecycle –embodied energy, energy need for operation
and recycling potential. International Journal of Building and Environment 2002;37(4):429–35.
[4] Feist W. Life-cycle energy balances compared: low-energy house, passive house, self-sufficient
house.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f CIB W67, Vienna, Austria: 1996.
p. 183–90.
[5] Gao W, et al. Energy impacts of recycling disassembly material in residential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2001;33:553–62.
[6] Thormark C. Environmental analysis of a building with reused building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Low Energy & Sustainable Building 2000 Available at http://www.byv.kth.se/
avd/byte/leas/.
[7] Quack D. Einfluss von Energiestandard und konstruktiven Faktoren auf dieUmweltauswirkungen
von Wohngeba¨uden— eine O¨ kobilanze. Doctoral thesis. Rheinisch-Westfa¨ lischen
Technischen Hochschule Aachen, 2001.
[8] Houses without heating systems. Energy and Building Design, Lund Institute of Technology.
http://www.ebd.lth.se/avd%20ebd/main/Gothenburg/Folder_Lindas_EN.pdf
[9] SABO. Swedish Municipal Housing Companies. Underha˚ llsnorm. (Standards for maintenance).
Stockholm, Sweden: 1998(in Swedish).
[10] Hagentoft C-E, Svensson C. Energieffektivt och god termisk komfort genom va¨ rmelagring
i byggnaden. Bygg & teknik 5/2000. Stockholm, Sweden: Fo¨ rlags AB Bygg & Teknik; 2000.
[11] Thormark C. Design for recycling in building Construction. Report TABK—98/1017. (Licentiate
thesis) Lund:Lund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Building Science.1998.
[12] Niachou A, et al. Analysis of the green roof properties and investigation of its energy
performance. Energy and Buildings 2001;33:719–29.
[13] Edgar L, et al. Response of a Sedum green-roof to individual rain events. Ecological
Engineering 2005; submitted for publication.
[14] T. Ramesh, et al. Life cycle energy analysis of buildings: An overview, Energy and Buildings 42
2010; 1592-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