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

 1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1
 2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2
 3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3
 4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4
 5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5
 6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6
 7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7
 8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족의 대두와 선종의 성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라 하대 사회상

1) 신라 중대 -> 하대

2) 신라 하대의 사회상

3) 육두품과 호족

4) 호족 세력의 대두

2. 선종의 성립

1) 선종의 성격

2) 선종의 수용

3) 구산선문

4) 신라의 선 사상

3. 선종과 호족의 관계

본문내용

4) 호족 세력의 대두
- 해상세력 : 골품제로 말미암아 중앙의 정치 무대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막힌 지방 세력
은 중요한 활동 무대를 해상무역에서 찾게 됨 → 대외무역은 점차 민간무역에서 주도. 사적인 대외무역으로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장 이들은 당뿐만 아니라 일본과도 교역을 하였으며 일본은 대마도에 신라역어를 증설하기까지 하였음. 신라인의 왕래가 빈번한 곳에는 신라인의 거류지인 신라방과 이들을 관할하기 위한 신라소라는 행정기관이 설치됨.
. 해상세력 가운데 가 장 선구적인 사람은 장보고 후에 보고가 귀국하여 흥덕왕을 뵙고 말하기를, "중국의 어디를 가 보나, 우리 사람들을 노비로 삼고 있습니다. 청해에 진영을 설하고, 해적들이 사람을 약취하여 서쪽으로 가지 못하게 하기 바라나이다" 하였다. 청해는 신라 해로의 요지로 지금 완도라 하는 곳이다. 대왕이 보고에게 군사 만 명을 주어 청해에 설진하게 하니, 그 후로 해상에서 국인을 파는 자가 없었다. (삼국사기 권 제44 > 열전 제4 > 장보고)
였음. 신라는 본래 변경의 수비를 위하여 육지에 설치하던 군진 군진들은 장차 지방세력가들에게 군사적인 힘을 제공하여 주는 근거지가 되었음.
을 해적들의 활동이 심한 해안의 요지에 설치하여 이를 방비. 선덕왕 3년 (782) 에 설치된 패강진 예성강 이북, 대동강 이남의 광범한 지역의 군사적 임무를 담당하는 군진. 이 지역의 토착세력가들은 뒤에 반신라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궁예나 왕건과 결탁
과 흥덕왕 3년(828년) 장보고가 설치한 청해진이 대표적
- 내륙지방의 호족 : 중앙에서 지방관으로 부임한 자들이 중앙정치의 혼란을 틈타 그곳에 눌러 앉아 호족이 되기도 함, 지방토착의 촌주 출신, 지방으로 몰락해 내려간 중앙귀족 출신
- 초적 중 큰 세력을 형성하여 지방정부 형태로 발전한 세력: 양길, 기훤, 견훤
⇨ 지방 세력들은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 칭하며 사병을 거느리게 되었고, 그 지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