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

 1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1
 2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2
 3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3
 4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4
 5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5
 6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6
 7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7
 8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8
 9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9
 10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10
 11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대시가론] 쌍화점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형성에 관한 논의
1.1. 원나라의 간섭
1.2. 고려 후기 불교의 타락
1.3. 당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애정생활

2. 시 무비와 충렬왕
2.1. 충렬왕대 시기의 시대 상황
2.2. 충렬왕과 충선왕
2.3. 시 무비의 존재

3. 참요의 노래
3.1. , 과
3.2. 의 향유와 전승
본문내용
“왕이 여러 소인들을 가까이하며 유흥을 즐기니, 행신 오기ㆍ김원상과 내료 석천보ㆍ석천 경 등이 노래와 여색으로 환심을 사기에 힘썼다. 관현방의 대악과 재인이 오히려 부족하다 하여 행신들을 각 도에 나누어 보내 관기로서 인물과 재예가 있는 자를 뽑고, 또 도성 안 의 관비나 무당으로서 노래와 춤을 잘 추는 자를 선발하여 적을 궁중에 두었다. 그리고는 비단옷을 입히고 말총모자를 씌워 따로 한 떼를 만들어‘남장’이라 부르고, 새 음악을 가르 쳤다. 그 노래에 이르기를,“삼장사 안에 등 밝히러 갔더니, 사주가 내 손목 잡았네. 혹시라 도 이 말이 절 밖으로 새어나가면, 상좌여, 이것은 네가 말한 것이리라.”하고, 또 이르기 를,“배암이 용의 꼬리 물고 태산 꼭대기를 지나갔다네. 만인이 제각기 한마디씩 하여도 두 사람의 마음엔 짐작이 있다네.”하였는데, 그 높고 낮음과 느리고 빠른 것이 음절에 맞지 않는 것이 없었다.” 「고려사절요」제22권, 기해25년(1299년).
(한국고전종합DB :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


이 사료가 기록될 시기는 충렬왕의 애첩이었던 시 무비가 충선왕에 의해 제거된 이후였다. 충렬왕이 가무와 잡회를 즐겼다는 기사는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또한 충렬왕이 음란한 가무를 벌이고 노는 데만 열중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반드시 그렇게만 볼 수는 없다. 여운필, 「쌍화점」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지 제92권,1984, pp.63.
충렬왕은 충분히 호학의 기질을 갖춘 군주였다. 변은숙, 고려 충렬왕대 정치세력의 형성배경, 명지사학회, 명지사론11,12, 2000, p.248.
그러나 즉위초가 아니면 이런 면모를 볼 수 있는 기사가 잘 보이지 않는 점으로 보아 점차 음사에 탐닉해 간 것으로 보인다. 여운필, 「쌍화점」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지 제92권,1984, pp.64.
그렇다면 그가 왜 「삼장」이나 「사룡」과 같은 노래를 부르며 화려한 연회를 즐기며 여생을 보내게 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져본다. 이에 대해 앞서 언급한 시 무비의 존재를 다시 생각해보고자 한다. 시 무비는 충렬왕 측근 세력의 주요 인물로서 충렬왕의 사랑을 독차지하였던 인물이라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이를 충선왕 세력의 입장에서는 못마땅하게 여겼을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시 무비를 중심으로 형성된 충렬왕 세력을 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 무비의 인기를 추락시켜야한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따라서 위의 사료 속 이나 은 연락을 즐기는 등 방탕한 기질이 농후하던 충렬왕의 기호에 부합되기 위하여 만들어졌던 것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http://yoksa.aks.ac.kr/
이 아니라 시 무비를 모함하여 그녀를 중심으로 모인 세력들을 흔들기 위한 치밀한 정치적 작전의 일환으로 지어지고 유포되었던 것이 아니었을까하고 생각한다. 이것은 마치 는 《삼국유사》에 전해내려 오는데 《삼국유사》는 충렬왕 7년에 지어진 것으로 당시에 널리 유행되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에서의 선화공주 몰아내기위한 계교를 시 무비를 몰아내기 위해 이용했을 것으로 생각해 보게 되었다.
로 선화공주를 불결한 공주로 만든 계교와 비슷하다고 이야기해 볼 수 있다.
제국대장공주의 죽음 이후 시 무비가 숙청을 당하고 충렬왕은 왕위를 아들 충선왕에게 물려주게 된다. 이후 충렬왕은 복위되긴 하지만 이미 자신을 뒷받침해줄 만한 세력들을 모두 잃어 적지않은 충격을 받았었고 실질적인 권력도 충선왕이 잡고 있었기 때문에 국정을 펴는데 집중하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64세가 된 25년에 충렬왕은 수강궁에 나아가 오잠,
참고문헌


-논문-

김명준, 형성에 관여한 외래적 요소,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동서비교문학저널, 2006.
김쾌덕, 고려 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6.
나정순, 고려가요에 나타난 성과 사회적 성격 - 과 를 중심으로-, 월인, 2003.
나정순,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6, 한국고전문학연구회, 2003.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웅진닷컴, 2004.
변은숙, 고려 충렬왕대 정치세력의 형성배경, 명지사학회, 명지사론11,12, 2000.
양희찬, 고전문학 : 쌍화점의 구조에 대한 재고,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1999.
여운필, 「쌍화점」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회지 제92권,1984.
윤은숙, 쿠빌라이와 고려,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2010.
이정선, 쌍화점의 구조를 통해 본 성적욕망과 그 의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2010.
최규성, 고려 속요를 통해 본 고려후기의 사회상 -쌍화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2000.
황보관, 『쌍화점의 시상구조와 소재의 의미, 한국고전연구 19집,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허남춘, 의 우물 용과 삿기광대, 반교어문학회, 반교어문연구 2권, 1990.
허왕욱, 고전 시가에 나타난 성 표현의 양상,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단행본-

윤선도, 꼭 읽어야 할 고전시가 200선, 타임기획, 2000.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http://yoks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