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

 1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
 2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2
 3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3
 4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4
 5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5
 6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6
 7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7
 8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8
 9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9
 10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0
 11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1
 12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2
 13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3
 14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4
 15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5
 16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6
 17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7
 18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8
 19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19
 20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쌍화점`과 `만전춘`, `한림별곡`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장르에 대한 이해, 고려가요 -
Ⅱ. 본론
< 쌍화점(雙花店) >
1. 소개
2. 작품 해석
3. 과 현대가요 비교
< 만전춘 (滿殿春) >
1. 소개
2. 작품 해석
3. 과 현대가요 비교
< 한림별곡(翰林別曲) >
1. 소개
2. 작품 해석
3. 과 현대가요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 장르에 대한 이해, 고려가요 -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정병욱,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2
이영태, 『고려속요와 기녀』, 경인문화사, 2004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한국언어문화연구원, 『한국대표 고전시가 1』, 빛샘, 1999
최철ㆍ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 문화사, 2003
성현경, 「만전춘별사의 구조」『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1975
박병채, 『고려시대의 어석연구』,1978
전규태, 「만전춘별사고」『고려시대의 가요문학』, 1992
강진순, 「경기체가 정서표출의 시대적 변모양상」, 1994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1996
윤희중 외,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운문』, 문원각, 1999
강명혜, 『고려속요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2002
정경섭,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시가』, 문원각,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