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지역 문학 답사

 1  하동지역 문학 답사-1
 2  하동지역 문학 답사-2
 3  하동지역 문학 답사-3
 4  하동지역 문학 답사-4
 5  하동지역 문학 답사-5
 6  하동지역 문학 답사-6
 7  하동지역 문학 답사-7
 8  하동지역 문학 답사-8
 9  하동지역 문학 답사-9
 10  하동지역 문학 답사-10
 11  하동지역 문학 답사-11
 12  하동지역 문학 답사-12
 13  하동지역 문학 답사-13
 14  하동지역 문학 답사-14
 15  하동지역 문학 답사-15
 16  하동지역 문학 답사-16
 17  하동지역 문학 답사-17
 18  하동지역 문학 답사-18
 19  하동지역 문학 답사-19
 20  하동지역 문학 답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하동지역 문학 답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하동
1) 지역소개

2) 답사 유적지

2)-1 최참판 댁
2)-2 쌍계사

3) 고전문학

3)-1 설화
3)-1-1 섬진강 두꺼비
3)-1-2 임진란 맹호 정기룡 장군

3)-1-3 하동 구시장에 모기가 없어진 사연

3)-2 민요
3)-2-1 며늘애기 자분다고

3)-2-2 줌치노래

3)-2-3 베틀노래

3)-3 시가
3)-3-1 遊智異山 (유지리산)
가. 작가 소개

나. 작품 소개

3)-4 산문
3)-4-1 流頭遊錄 (유두유록)
가. 작가소개

나. 작품소개

4) 현대문학

4)-1 하동지역 출신 작가
4)-1-1 정호승
가. 작가소개
나. 정호승의 작품세계

다. 작품소개
4)-1-2 김필곤
가. 작가소개

나. 작품소개
4)-1-3 정공채
가. 작가소개

나. 정공채의 작품세계
다. 작품소개
4)-1-4 이병주
가. 작가소개

다. 작품소개
4)-2 하동지역 배경 작품
4)-2-1 고은, 「섬진강에서」

가. 작가소개

나. 작품소개
4)-2-2 박경리, 『토지』
가. 작가소개

나. 작품소개
다. 작품의 이해
4)-2-3 김동리, 『역마』
가. 작가소개
나. 작품소개
다. 작품의 이해
라. 『역마』 속의 하동
5) 쉼터
5)-1 운암영당 고운선생 영정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187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4)-1-3 정공채
가. 작가소개
1934년 12월 22일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나 그의 스승인 박두진의 추천으로 1957년 『현대문학』에 시 「종이 운다」로 등단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수필집으로는 「너의 아침에서」(1989), 시집으로는 「정공채 시집 있습니까」(1979), 「해점」(1981), 「아리랑」(1986), 「사람소리」(1989), 「땅에 글을 쓰다」(1990), 「새로운 우수」(2000), 「미 8군의 車」등이 있다. 또한 노천명, 전혜린, 오상순 등의 평전과 소설 「초한지」를 발표하였다. 2008년 4월 30일에 폐암으로 별세하였다.한국현대시의 맥(2005), 허금주, 새미, p163.


나. 정공채의 작품세계
“정말 시는 내게 있어 생활의 가난은 일으킬지언정 생명의 환희를 내내 뿌듯이 해줘서 고맙고 목숨 같다(「아리랑」).” - 정공채
정공채의 시는 6․25전쟁 전후를 배경으로 시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다. 그는 시의 진실성, 생동성을 주장했다. 그의 시 경향을 보면 초기에는 인간과 자연을 노래했고, 1963년에 발표했다가 반공법 위반 혐의를 받았던 「미 8군의 車」에서는 현실 자각의 경향으로 변모했다. 정공채의 시는 어디를 들추어 보아도 잃어버린 자아와 민족의 주체성이 배어 있다. 이러한 부분은 시대를 달리 하여 또 다른 자의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 광범위한 사유망을 거느린다. 그의「미 8군의 車」를 통해서 표현의 자유는 시인의 강인한 의지가 수반 될 때에 모든 장애물을 건널 수 있다는 진리를 불러일으킨다. 그는 지침과 외로움에서 더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즉 죽음에 이르기까지 계속 떠나야 하는 시인의 숙명을 비관하지 않았다. 시인의 삶이 고난 속에 있기 때문에 긴장된 아름다움이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의 시는 후기에 이르면서 자아의 심정을 노래하게 된다.

참고문헌

국민대학교 국사학과(2004),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지리산 문화권』, 역사공간.
김기빈(1991), 『한국의 지명유래 1』, 지식산업사.
김기빈(1993), 『한국의 지명유래 4』, 지식산업사.
김동리(2010),『김동리 작품집』, 지만지.
김상태 외(2002), 『한국현대작가연구』, 푸른사상.
김순애(1996), 「비극적 저항과 단순성의 시학-정호승론」, 『현대시』7.
김승찬(2003), 『한국구비문학대계 8-14 경상남도 하동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이정.
김영무(1999), 『하동에서 임진강까지』, 북피아, pp.67~76.
김윤식․임헌영․김종회 책임편집(2008), 󰡔역사의 그늘, 문학의 길󰡕, 한길사.
김정숙(1996),「김동리 삶과 문학」, 집문당.
김정희, 『지리산 자락의 민요 Ⅱ』, 국립민속국악원.
김종회(2008), 『역사의 그늘, 문학의 길』, 한길사.
김훈(2004), 󰡔내가 읽은 책과 세상󰡕, 푸른숲.
문학의 집․서울, 한국문학관협회(2010), 󰡔문향을 따라가다󰡕, 어문각.
민족문화추진회 간, .
손희락(1999), 「영원 지향의 시학」, 청어.
이병주(2006), 󰡔지리산 1󰡕, 한길사.
이진우(2002),「김동리 소설연구」, 푸른 사상.
이화현대시연구회(2004), 「행복한 시인의 사회」, 소명출판.
전남문화유산해설사회(2005), 『남도전설』, 전남대학교출판부.
조희웅·조흥욱·조재현(2005),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Ⅱ』, 월인.
조희웅·노영근·박인희(2003), 『영남 구전자료집 4』, 박이정.
천소영(1997), 『전설따라 지명따라 한국의 전설기행』, 한국문원.
최유찬(1998), 『박경리』, 새미출판사.
한국문화유산답사회(1994), 『답사여행의 길잡이』, 돌베게.
하동군(2007), 『만화로 보는 하동의 전설』, 하동군.
한원균(2001), 󰡔고은시의 미학󰡕, 한길사.
허금주(2005), 「한국현대시의 맥」, 새미.
홍기돈(2010), 「김동리 연구」, 소명출판.

강유진(2008), 「문학기행을 다녀와서 - 경남 하동군 일대」, 『나랏말쌈 22호』, 대구대학교 국어교육과, pp.158~164.
조선희(2006), 「열린공간 : 자유기고 ; 하동 섬진강토지문학축제」, 『기계산업 353호』, 한국기계산업진흥회, pp.94~99.
최두성(2010), 「海雲 崔致遠의 생애와 儒佛仙 融合論」,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pp.8~54, 123.
추민정(2005), 「고운 최치원의 한시 연구 : A Study on the Chinese poems of Choe Chiwon」,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3.
황의열(1992), 「崔致遠의 小攷」, 경상대학교, p.5.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사진자료
“고운 영정”, 네이버 블로그 ‘선재선재’, , (2011. 03. 25).
“고은”, 네이버 인물검색, , (2011. 03. 24).
“김종직”, 네이버 백과사전, , (2011. 03. 24).

“김동리”, 네이버 인물검색, , (2011. 03. 25).
“김종직”, 네이버 카페 ‘예안 김씨 장령공파’, , (2011.03.25).
"김필곤", 네이버 블로그 '카씨의 포스', , (2011. 03. 23).
“박경리”, 네이버 인물검색, , (2011. 03. 24).
“섬진강 두꺼비바위”, 네이버 블로그 ‘한순간을 아름답게 간직하기를...’, , (2011. 03. 24).
“소설 지리산”, 네이버 책, , (2011. 03. 23).
"쌍계사", 네이버 블로그 BY. 여명, , (2011. 03. 27).
"쌍계사", 하동 문화관광, , (2011. 03. 27).
“이병주”, 네이버 인물검색, , (2011. 03. 24).
“정기룡장군”, 네이버 블로그 ‘허니와 미야의 유람기’, , (2011. 03. 25).
"정호승", 네이버 인물검색, , (2011. 03. 23).
"최참판댁", 하동 문화관광, , (2011. 0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