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1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1
 2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2
 3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3
 4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4
 5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5
 6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6
 7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7
 8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8
 9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리학]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1. 폐활량 검사(Spirometry)=폐기량 측정

I. 검사기구
1) 호흡측정기 (spirometer)

2) Body plethysmography

3) 가스분석기

Ⅱ. 폐용적

Ⅲ. 역동적 폐기능검사

1) 노력성 호기곡선(Forced expiratory flow rate, volume-time curve)

2) 노력성 호기류-용적곡선(Flow-volume curve)

Ⅳ. 최대노력성 환기량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VV)

Ⅴ. 폐기능 검사의 해석

- 폐쇄성 환기 장애

- 제한성 환기 장애

3) 유량기량곡선(Flow-volume curve)

1) 폐쇄성 폐질환

2) 상기도 폐쇄(upper airway obstruction)

3) 제한성 폐질환

2. 기관지 확장제 투여후 반응 검사

3. 기도 과민증 검사(Bronchial Hyperreactivity Test)

4. 폐확산능 검사(Diffusing capacity, Transfer factor)

참고 문헌


본문내용

- 폐쇄성 환기 장애
Spirometry는 기도폐쇄를 진단하고 그 정도를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나타내지만 spirometry만으로는 직접 기도저항을 측정할 수 없고 노력성 호기류 속도로 간접적으로 반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성 호기곡선이나 호기류-용적곡선과 body plethysmography와는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노력성 호기조작에 의한 호기곡선등은 기도폐쇄를 진단하는데 임상에서 아주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관지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과 같은 폐쇄성 환기장애 질환은 폐활량의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는 잔기량의 증가에 기인하며 또한 호기류 속도(FEV1, FEF25-75%)의 감소를 나타내고 MVV의 감소를 보이고 FEV1/FVC의 비가 75%이하로 감소한다.
노력성 호기류-용적곡선에서는 저폐용적에서의 호기류속도가 특징적으로 감소하는 “scooped out" 모양을 나타낸다.
폐쇄성 환기 장애의 진단은 최대 호기시 기도 폐쇄로 인하여 숨을 내쉬는 것이 지연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방법, 즉 FEV1 측정에 의존한다. 폐쇄성 폐질환의 소견은 주로 FEV1이 감소하고 FVC도 감소할 수 있으나 FEV1의 감소보다 훨씬 덜하여 FEV1/FVC 비가 감소한다.
그리고 기도폐쇄의 가역성 변화에 대한 기준은 기관지 확장제 투여후 FVC, FEV1, FEF25-75%의 3가지 중 2가지 이상의 parameter에 대해 15% 이상의 개선효과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환기장애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는 FEV1이 추정정상치의 65-79%인 경우는 경도,
참고문헌
제1차 폐기능 검사 Workshop. 서울중앙병원. 1996
임상호흡기학. 한용철저, 일조각.1990
American Thoracic Society: Standardization of spirometry : 1994 uptake. Am J Respir Crit Care Med 152: 1107-1136, 1995
Crapo RO, Morris AH, Gardner RM: Reference spirometric values using techniques and equipment that meet ATS recommendations. Am Rev Respir Dis 123: 659-664,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