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

 1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
 2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2
 3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3
 4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4
 5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5
 6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6
 7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7
 8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8
 9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9
 10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0
 11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1
 12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2
 13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3
 14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4
 15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5
 16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6
 17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7
 18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8
 19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19
 20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학사상] 종묘와 종묘제례 속 우리의 정신문화연구 및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접목-제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묘와 종묘제례
2. 제사문화의 변천사
3. 유학과 조선왕조에서 제사의 의미
4. 종묘에서 찾는 우리의 정신문화
5. 제사의 기능과 그것의 현대적 재구성
6. 마무리
본문내용
종묘제례는 왕실의 조상을 추모하는 국가의 제례로서, 조선 시대 모든 제례 중 가장 격식 높은 의식.
해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지내는 대향(大享, 四時大享), 섣달 그믐에 지내는 납일제(臘日祭), 영녕전에서 거행하는 춘추(春秋) 제사, 속절(俗節), 삭망에 치르는 향사(享祀) 외에 종묘에 와서 빌거나 고하는 기고(祈告) 의식, 햇과일이나 햇곡식 등 새로운 물건이 나왔을 때 신물을 바치는 천신제(薦新祭), 왕세자, 왕비, 왕세자빈이 종묘 영녕전에 와서 비는 알묘(謁廟) 의식 등이 있었음.
횃불과 초를 밝히고 한밤중에 봉행, 1969년부터 해마다 한 차례씩 올리다가 1971년 이후 전주리씨 대동종약원에서 매년 5월 첫 일요일 낮에 정전과 영녕전에서 각각 한차례 올림.
종묘제례악에 맞추어 신을 영접하고 음식과 술을 올려 즐겁게 해드린 다음 신을 보내드리는 순서.


-친친(親親)을 시발점으로 하는 별애(別愛) 주장
부모 자식관계를 출발점으로 하여 '효'사상을 강조
(혈연공동체를 중시 -> 宗을 중시)

-제사는 효의 항상심을 상징적으로 드러냄
-인仁의 발현 방식(예禮)의 실천적 형태


조선 건국 이후 불교의 잔재(윤회, 지옥설)를 제거하고
유교의 기틀을 세우는 것이 최우선 과제


유가에서의 '효'개념은 역사적으로 발전을 거듭
살아있는, 돌아가신 부모에 대한 공경과 존경에서
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음으로 국가와 군주를 섬기는 것으로 효 개념 확대

종묘제례는 최고의 품격을 갖추고 유교절차에 따라 거행되는 왕실의례
이를 통해 동양의 기본이념인 '효'를 국가차원에서 실천함으로써
민족공동체의 유대감과 질서를 형성하는 역할

경로효친사상


종묘제례는 왕실에서 거행되는 장엄한 국가제사이며, 임금이 친히 받드는 존엄한 길례였다.
유교사회에서는 길례(吉禮)·흉례(凶禮)·군례(軍禮)·빈례(賓禮)·가례(家禮)의 다섯 의례(五禮) 중 길례인 제사를 으뜸으로 함. 이를 '효' 실천의 근본.

조상숭배

유교: ‘사람이 죽으면 혼과 백으로 분리되어 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형체인 백은 땅으로 돌아간다.’ 고 생각. 그래서 보이지 않는 영혼을 모시는 사당과 백을 묻어 모시는 무덤을 각각 만들어 조상 숭배.
특히 죽은 조상의 혼 깃든 신주 만들어 제례 올리며 후손들의 정신적 지주로.

정신문화중시(>외형)

종묘는 조선왕조가 가장 정성을 다해 지은 건물로써 선왕의 제를 지내던 곳이지만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묘의 외형은 화려하지 않음.
지붕은 맞배지붕의 단촐한 구조에 단청은 갈색과 녹색으로 보색대비만.
마당의 박석은 대충 다듬어 놓았고, 받침돌 또한 장단을가리지 않고 사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