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

 1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
 2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2
 3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3
 4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4
 5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5
 6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6
 7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7
 8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8
 9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9
 10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0
 11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1
 12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2
 13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3
 14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4
 15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5
 16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6
 17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7
 18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8
 19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19
 20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디지털미디어]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들어가며...

1. 이론적 배경(개념)
1) 뉴미디어에 따른 방송환경의 변화
2) 뉴스관의 변화

Ⅱ.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뉴스보도의 변화 분석

Part 1. 재난 관련 보도의 변화
1) 재난보도의 개념
2) 기존 매스미디어를 통한 재난보도
3) SNS를 통한 재난보도의 변화
4) 재난관련 보도변화의 분석결과

Part 2. 선거 관련 보도의 변화
1) 미디어 매체별 선거운동
2) 여론과 미디어
3) 선거관련 보도변화의 분석결과

Part 3. 사건, 사고 관련 보도의 변화
1) 24시간 생중계방송
2) CCTV저널리즘
3) 사건, 사고관련 보도변화의 분석결과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재난관련 보도변화의 분석결과
재난보도도 변화하고 있다. 기존 매스미디어에 트위터 등의 SNS가 등장하여 재난보도가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트위터를 통한 수용자의 메시지 재창출은 긍정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매스미디어에서는 다루어지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게 다루어지는 메시지들이 트위터리안들의 자발적인 선택적 수용으로 더 다양하고 폭넓은 메시지 창출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매스미디어들은 자신만의 기득권을 유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한 환경에서 SNS와 갈등이 아닌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각 방송사 신문사 마다 트위터가 있고 실시간으로 수용자들의 메시지 수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리고 방송사 신문사들은 컴퓨터 CG를 통해 시각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용자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매스미디어의 변화이자 자구책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다매체 미디어 시대에 경쟁이 심화하여 미디어간 경쟁이 증가하고 있고,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가 난무하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재난보도는 미디어 종사자들의 윤리의식이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참혹하고 처참한 피해 현장에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보다는 재난상황에 차분하게 대처하는 보도로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Part 2. 선거 관련 보도의 변화
매스컴을 이용한 선거운동이 매우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선거운동의 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한국의 TV선거운동은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2002년 대통령 선거를 거치면서 이제는 제도화된 선거운동 수단으로 볼 수 있다. TV선거운동이 후보자의 정책보다 이미지 메이킹이 중시될 수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조직동원에 의존한 선거운동이라는 한국의 선거 관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TV에 비친 후보자들의 외모와 개성을 보고 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TV를 비롯한 각종미디어에 의한 선거운동은 기존의 신념을 확고히 하게만 할 뿐 선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지만 분명히 선거방송은 현시대의 선거운동에 중요한 역할은 분담하고 있고 그 영향력 역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처럼 선거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매체의 변화에 따른 선거보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이준웅ㆍ문태준(2007). 포털뉴스의대두와다중매체뉴스이용. 󰡔포털뉴스의이용행태와 사회갈등담론󰡕방송학회학술세미나발표집.
임영호ㆍ김은미ㆍ김경모ㆍ김애란(2009), 온라인 뉴스 이용자의 이용관과 뉴스이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학회·이재경, 방송뉴스 취재와 보도, 서울 : 나무와 숲, 1998
권혁남, 여론조사 보도, 어떻게 볼 것인가, 언개연 선거보도 1차 토론회 발표 논문, 프레스센터, 2002
양승목, 언론과 여론 : 구성주의적 접근, 언론과 사회, 나남, 1997
이민웅, 한국 방송의 취재·보도시스템에 관한 연구, 취재보도 시스템, 한국언론연구원, 1991.
팽원순, 방송보도의 공정성과 그 기준, 방송연구, 방송위원회, 1988
강명구(1990). 한국TV의내용과형식에관한분석. 한국언론연구원. TV뉴스보도, 3∼133.
백선기(2000). 한국TV 뉴 스보도의문제점및개선방안: 뉴스의재현현상을중심으로. 성대언론정
보대학원ㆍ언론개혁시민연대주최언론보도문제점과개선방안발제문.
정경옥역(2006). ꡔ여론조작: 매스미디어의정치경제학ꡕ. 서울: 에코리브르. Unmaking of the new left.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박홍수(1995). ꡔ메이킹뉴스ꡕ. 서울: 나남.

Bacon, M. (2001). Criticizing the critics: L.A. Times’ David Shaw and his detractors. Newspaper Research Journal, 16, 21∼34.
Entman, R.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s of a fractures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 51∼58.
Fields, E. E. (1984). Preachers, press and politics: The media career of a conservative social movement.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Oregon.
Gamson, W. A., & Modigiliani, A. (1989).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 1∼37.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erman, E., & Chomsky, N. (2002).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Iyengar, S. (1991).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 365∼383.
McComb, M. E., & Shaw, D. L. (1972).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ass media. Public Oinion Quarterly, 36, 176∼187.
Mayeux, P. E. (1991). Television news. Wm. C. Brown Communication, Inc., 김7흥규(1993). ꡔ방송뉴스론ꡕ. 서울: 나남.
McChesney, R. W. (1999). Rich media, poor democracy: Communication politics in dubious times. New York: The New Press.

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129835
http://newsmaker.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201105311805351&pt=nv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