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

 1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1
 2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2
 3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3
 4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4
 5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5
 6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6
 7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7
 8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8
 9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9
 10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10
 11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비문화와 뉴저널리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소비문화

1. 소비문화의 정의

1)소비사회란?

2)개인적 차원

3) 언론의 소비문화

2. 소비문화의 맹아 (17-19세기의 유럽)

Ⅱ. 뉴저널리즘

1. 뉴저널리즘의 정의

2. 뉴저널리즘의 형성배경

1) 소비문화의 영향 (신문의 상업화)

2) 페니프레스의 등장
① 페니프레스의 특징

②대표적인 페니프레스

3) 정보의 개방성

4) 이 시대의 전반적인 신문매체 발전현황

3. 뉴저널리즘의 특징 [저널리즘 VS 뉴저널리즘]

1) 기사작성에 있어서 형식의 자유 강조

2)기자가 취재대상에 직접 참여하여 진실을 캐내는 보도방식

3) 드러난 사실보다는 사건 속에 내재한 진실을 추구

4) 대중의 기호 반영(상업성)

4. 뉴저널리즘에 대한 평가
1) 뉴저널리즘의 부정적 영향
①선정적 보도

②진실성과 정확성 무시

③흥미 위주의 폭로 저널리즘

④정신분열증적인 보도태도

2) 옐로저널리즘

①정의 및 유래

②목표와 가치

③특징

③평가

3) 뉴저널리즘의 새로운 발견

Ⅲ. 결론

Q&A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소비문화의 맹아 (17-19세기의 유럽)
1688년 영국의 명예혁명, 1776년 미국의 독립선언, 1789년 프랑스 대혁명 등 당시의 유럽은 그야말로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었다. 당시 유럽 전반을 휩쓸었던 계몽주의 사상은 인간의 존엄과 평등, 자유권을 강조했으며 국가는 단지 인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일 뿐임을 알려주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진 힘과 가져야 할 권리에 대해 점점 깨닫기 시작했다. 절대 왕정은 붕괴했고 귀족들은 몰락했으며 ‘시민’이라는 새로운 계급층이 나타났다.
그 직후 18세기에 나타난 산업 혁명은 대량생산 체제를 통해 대량 판매가 가능한 ‘기업’과 높은 소득으로 인한 구매력을 갖춘 개인(부르주아 계급)을 등장시켰다. 기업이 가진 판매 욕구와 부르주아들이 가진 이전의 권력층에 대한 은근한 모방심리, 그리고 경제력은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 채우기 시작했는데, 이는 곧 광고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기업과 개인 간의 소비 구조 사이클에 대중매체가 끼어들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해 소비 구조의 규모는 한 차원 더 확대되었다. 신문에 광고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광고를 보고 물건을 구매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소비사회의 바탕 위에 신문은 기업들을 상대로 한 광고수입으로 인해 점점 그 크기를 키워 갔으며 상업화되기 시작했다.


Ⅱ. 뉴저널리즘

1. 뉴저널리즘의 정의
: 뉴저널리즘(New Journalism)이란 1960년대부터 미국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었던 보도양식의 변혁을 일컫는 말이며, 전통적 저널리즘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다.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뉴저널리즘은 60년대 등장한 미국의 새로운 저널리즘 운동을 말한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뉴저널리즘은 현실을 증류하기 위해 사실을 압축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즉, 뉴저널리즘이란 기자 자신이 직접 취재의 대상인 사건에 참여해 그 스스로의 신념과 통찰력에 따라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고, 창조적인 소설 기법까지도 자유로이 구사하여 진실을 실감나게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보도 방식을 말한다.(오늘날의 심층취재) 이는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객관성과 단편성을 거부하면서, 기자나 언론사의 의견을 곁들여 심층적이고 해설적인 보도를 하자는 운동이다
하지만 우리가 이 발표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뉴저널리즘이란 당시의 뉴저널리즘, 즉 1880년대 조셉 퓰리처의 「뉴욕월드」를 필두로 한 대중지들의 대거 등장과 함께 보다 독자들이 신문을 읽기 쉽고 접하기 쉬워지게 된 당시의 분위기를 의미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준만, 『미국사 산책 4』, 인물과사상사, 2010, p166-177.
유일상, 『매스미디어 입문』,청년사, 2005, p113.
김옥조, 『미디어 윤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p216.
허버트 알철,『현대언론사상사』, 나남, 2007, p488-498.
존 라이트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교양 8』, 이지북, 2005, 114p
미첼 스티븐스, 『뉴스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p355-361
스티븐 J.A. 워드 『언론윤리의 재발견』, 에피스테메, 2007, p316.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40603 (검색일:2010.04.2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