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

 1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1
 2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2
 3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3
 4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4
 5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5
 6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6
 7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7
 8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8
 9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9
 10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10
 11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11
 12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12
 13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인] 고은 시인의 삶과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시인소개

2. 시인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3. 60년대- “나는 창조보다 소멸에 기여한다.”

4. 70~80년대- 억압에 저항하는 현실참여 문학

5. 90년대 -

6. 현재


본문내용

여기서도 드러나듯이 환상으로써 존재하는 그의 누이는 실재에 대한 현실감을 가지지 못한 채 막연한 동경의 대상으로만 존재한다. 피안의 세계를 지향하는 시인은 그런 자신을 붙잡아 줄 고향과 같은 존재로 누이를 노래하지만 그런 누이가 시인이 만든 환상인 것이다. 이런 모순적 상황은 ‘창조보다 소멸에 기여한다’고 말한 시인이 시를 창조함으로써 갖는 모순과 일맥상통한다. 환상인 누이를 구심점으로 잡은 그의 시 세계가 허무주의로 규정됨은 이와 관련이 있다.
한편 이 지어낸 이야기와 시인의 정체에 신비로움을 더해 주는 과감한 행위, 출가인으로서 간직한 내면적 상처는 고은의 시인다운 명민함을 증거하는 것으로 체험의 진정성을 운운하는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실제 사실과 시적 진실성 사이에는 당연히 거리가 있음이 자연스럽고 중요한 것은 고은의 시와 그 자신이 당시 문학에 새로움을 주었다는 것이다.


4. 70~80년대- 억압에 저항하는 현실참여 문학

고은의 낭만적 주관성이 가졌던 자아의 파괴는 60년대 중반 제주도 생활을 기점으로 절정에 달한다. 그러나 60년대를 지나 70년 즈음하여 동화된 낭만적 주관으로 추억의 공간을 연기하던 젊은 날은 끝난다. 62년 환속하여 속인으로서 새 출발을 준비해야 했던 그에게 낭만적 주관성의 시인상은 자신을 끊임없이 어떤 극적인 상태로 몰아넣어야 하는 무거운 책무를 부여했을 것이다. 그의 시인으로서의 위기의식은 스스로 낭만적 주관을 해체함으로서 자살충동을 극복하기에 이른다. 그는 요절에의 충동을 이겨내었으며 무덤으로부터 돌아온 셈이 된다. 그렇게 고은 초기 시편에서 보이던 낭만적이고 탐미적인 허무의 시편들은, 1970년대를 거치면서 민중의 역량과 지식인의 역사적 실천 가능성에 대해 눈을 뜨며 현저한 변화를 이루어간다.
정확히 70년 서울 어느 술집에 쌓여 있던 묵은 신문지 더미에서 전태일 열사의 분신자살 기사를 읽게 된 것이 계기였다. 이를 통해 자기만의 세계에서 나와 시대와 사회를 투시하게 되었고 그 후 급속도로 의식의 확정을 거듭하게 된다. 3선 개헌반대운동에 문인 대표로 참여하는가 한편, 자유실천문입협회와도 관계하면서 책을 통해서가 아닌 실천을 통해 차츰 역사의식을 무장한다. 전태일의 죽음과 함께 70년대를 만나면서 그 무렵의 3선 개헌, 유신헌법 등을 목격하며 비로소 자기만의 세계에서 나와 시대와 사회를 투시하게 되었고 그 후 급속도로 의식의 확장을 거듭하게 된다. 『시와 시학』p.23-41 김재홍 교수님과의 인터뷰에서, 시와 시학사, 통권 제 6호 1992.6

전기의 시에서의 자아가 현실갈등으로 인해 위축되어 동경, 몽상, 슬픔, 좌절, 죽음의 부정적 요소로 편향되었다면, 중기 시에서는 현실과의 적극적인 대면, 밝음의 세계에 대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