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

 1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1
 2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2
 3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3
 4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4
 5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5
 6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6
 7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7
 8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8
 9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9
 10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10
 11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물화][초상화]인물화(초상화)의 개념,분류,역사,구도,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인물화검사, 인물화(초상화)의 지도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물화(초상화)의 개념

Ⅲ. 인물화(초상화)의 분류
1. 인물화의 대상에 따른 분류
1) 자화상
2) 초상화
3) 종교화
4) 역사화
5) 풍속화
2. 인물화의 자세에 따른 분류
1) 입상화
2) 좌상화
3) 와상화
4) 두상화
5) 흉상화
6) 반신상화
7) 전신상화
8) 군상화

Ⅳ. 인물화(초상화)의 역사
1. 조선 초기 초상화의 특징(15세기)
2. 조선 중기 초상화의 특징(16․17세기)
3. 조선 후기 초상화의 특징(18․19세기)

Ⅴ. 인물화(초상화)의 구도

Ⅵ. 인물화(초상화)의 Kawara자화상
1. Today Series
2. I Am Still Alive
3. I Got Up
4. The I Met series
5. The I Went series
6. One Million Years

Ⅶ. 인물화(초상화)의 인물화검사
1. 인물화 검사의 기본 전제 - Levy(1959)
2. Hammer(1978)
3. 검사 해석 방식의 특징

Ⅷ. 인물화(초상화)의 지도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남종문인화의 시조로 불리는 당나라의 시인이며 사대부화가인 왕유는 『산수결』에서 “대저 화도 중에 수묵이 가장 으뜸인데, 그것은 자연의 성격을 표현하여 조화의 공을 이루는 것이다”라고 하여 수묵의 정신성과 도교적 자연주의 회화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은거생활을 하면서 자연의 변화와 순수성을 수묵의 농담과 선염으로 표현했다. 장언원도 『역대명화기』에서 “회화란 교화를 이루고 인륜을 돕고 신묘한 변화를 탐구하여 깊은 미묘를 헤아리며 육경과 함께 공부하며 사시를 운행하고 자연의 기를 함께 발하는 것이지 서술해서 그리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회화의 교육적 측면과 함께 자연주의사상을 주장했다.
荊浩는 山西의 太行山 洪谷에 은둔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를 흠모하여 그림을 그리며 생을 보냈는데 『筆法記』에서 역시 자연주의적 화론을 전개했다. 北宋代의 郭熙도 『林泉高致集』에서 그 이론을 전개했다.(金鍾太, 1984, 63-72) 도석인물화는 위진·남북조 시대가 전성기로서 고개지, 육탐미, 장승요, 당대의 위지을승, 오도자 등에 의해 회화, 벽화로 주로 제작되었다.
624년 고구려 영유왕때 당나라를 통해 도교가 전래된 이래 “黃老思想과 易, 陰陽五行, 天文, 占星, 坐祝, 方位 등에 유가사상 일부와 불교의 체제를 모방하여 도교 의식으로 나타낸 그림”인 “신도화”가 고려시대에 많이 그려졌다. 또한 신선사상에 바탕에 둔 십장생도도 유행하였다. 특히 집안에 집중적으로 산재해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선인과 선녀, 학을 타고 나는 신선, 사신도, 비천상의 도교적인 주제와 연꽃, 보살상 등 불교적인 것 등을 생동적인 형태미와 화려한 색채로 표현하여 고구려인들의 내면세계를 독자적인 조형성과 회화미로 승화시켰다.
참고문헌
- 도병훈(2007), 나와 너의 세계미술, 책을 읽다
- 박기웅 지음(2003), 현대미술 이론 2, 형설출판사
- 안휘준(1999), 인물로 본 한국미술 - 한국의 초상화, 삼성문화재단
- 이주헌 저(2006), 신비로운 인물화는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다섯수레
- 현대미술용어사전(1984), 월간미술, 중앙일보
- 한국미술연구소(1997), 디자인 디자인, 시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