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

 1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
 2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2
 3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3
 4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4
 5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5
 6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6
 7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7
 8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8
 9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9
 10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0
 11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1
 12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2
 13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3
 14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4
 15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5
 16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6
 17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7
 18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8
 19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19
 20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강심리학] 섭식 장애(Eating Disorder)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Eating Disorder ?

2. 대상자 선정

3. Anorexia nervosa
• 정의, 발병시기, 진단기준, 증상, 발병원인, 공병, 예후

4. Bulimia nervosa
• 정의, 발병시기, 진단기준, 증상, 결과, 발병원인, 공병, 예후

5. 섭식장애에 대한 연구방향
• 소수민족, 남성

6. 섭식장애 치료방법
본문내용
한국에 살고 있는 한국 사춘기 소녀(이하 KK)와
미국에 살고 있는 한국 사춘기 소녀(KA) 비교(류호경, 2006).

* 과거에는 사회/문화적 차이가 있었으나,
국민 소득이 높은 나라에서 시작되어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

- 두 집단 모두 과체중이나
비만(KK: 5.0%, KA: 9.1%)보다 저체중(KK: 35.9% KA: 29.2%)

- 두 집단에서 자신에 대한 체형 만족도 KK: 9.0%, KA: 15.0%.
자신의 실제 몸무게보다 마른 몸매를 이상향으로 꼽음.

- 두 집단에서 신경성 식욕 부진증에 속하는 비율: KK 9.0%, KA 11.2%


신경성 식욕 부진증의 anorexia은 식욕이 없음을 의미,
실제로 식욕 감퇴를 불러오지는 않음.
(오히려 굶는 기간 동안 요리 책을 보거나 가족을 위해 요리를 함.)

음식에 대한 욕구는 강력하지만
살찌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먹지 못하는 증상.

체중이 얼마이든,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말하든 관계없이
스스로 과체중이라고 확신.

허기를 느끼는지 여부가 아니라
얼마나 체중이 많이 빠졌는지에 따라 정의.

산업화된 사회에서 자주 진단.
(미국: 100~200명의 소녀 또는 여성 중 한 명)


2. 개인 내 맥락

① 신체상

• 사춘기 소녀 피하지방 증가 11kg 체중증가
• 자신의 신체에 대한 타인의 반응에 집착
• 신체불만이 다이어트 유도
• 신체에 대한 부정확한 지각 : 신체적 망상의 경계

② 성격특성

• 제한형: 경직, 순응적, 사회적 불안정, 강박적, 통찰력 부족

• 폭식/하제사용형: 외향적, 사교적, 정서적 불안정, 강한 배고픔,
충동통제의 곤란

③ 인지

• 인지왜곡: 강박적 사고, 부정적 자기-판단
• 다이어트에 대한 집착 : 종종 반제한적 섭식
무감동, 집중력 저하
치아 미란 또는 부식
상시적인 인후통
근육 약화
운동 시 뼈의 통증
저혈압
불규칙적인 맥박
침샘이 부음
변비 또는 그 밖의 장 문제
위장관계의 문제 – 고창증(과식에 의한 소화불량),
가슴 쓰림, 위산역류 등
생식력의 문제


참고문헌
류호경 (2006). 한국과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사춘기 여학생의 체형인식과 섭식장애 경향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3-54.

이옥경, 성한기 (2006). 체중, 체중관련 자기주의와 체중에 따른 섭식억제 및 폭식행동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27-741.

Kring, Johnson, Davison, Neal, (2010). Abnormal Psychology (international version 11th ed.). John Wiley & Sons Ltd.

Wenar, C., Kerig, P. (2006). 발달정신병리학-영아기부터 청소년까지-[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4th ed.). (이춘재,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이명숙, 박혜원, 곽금주, 장유금, 이도현 공역). 박학사.
Novotney, Amy. (2009). Cover story-new solution.

http://www.apa.org/monitor/2009/04/treatments.aspx, 2011-04-07 인출.

SBS 미스터리 특공대 - 20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