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

 1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1
 2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2
 3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3
 4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4
 5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5
 6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6
 7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와 새로운 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전시가 속 ‘새’의 이미지
1) 자연 친화적 대상
2) 애상적 정서의 표상
3) 세상에 대한 한탄, 슬픔의 표상
4) 길조를 암시하는 대상
5) 표리부동의 상징
2. 현대시 속 ‘새’의 이미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작품설명 : 295구의 기행가사이자 양반가사로 선조 13년 정철이 관동팔경을 유람한 내용과 연군지정, 애민 사상의 토로가 주를 이루고 있다.

- 션학 : 신선 세계, 화자의 동경의 대상
- 산새 : 산영루에서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화자의 감정이입적 대상
- 백구: 자연 친화, 물아일체의 경지를 암시하는 존재(대상)


2) 임에 대한 정한 또는 애상적 정서의 표상

𐍋 허난설헌
欄난干간의 비겨 셔서 님 가신  바라보니, 草露(초로) 맷쳐 잇고 暮모雲운이 디나갈 제, 竹林(죽림) 푸른 고 새 소리 더욱 설다. 세상의 서룬 사람 수업다 려니와, 薄박命명 紅顔(홍안)이야 날 가니  이실가. 아마도 이 님의 지위로 살동말동 여라.

- 작품해설 : 조선 선조 때의 여류시인 허난설헌이 지은 가사로 라고도 한다. 조선의 봉건사회 속에서 눈물과 한숨으로 세월을 보내는 부녀의 정한을 읊고 있다. 한문 고사숙어를 많이 활용하면서도 애원과 온아한 작풍이 전편에 흐른다.

- 새 소리 : 작중화자의 감정(이별의 정한, 비애)이 이입된 대상물

𐍋 이조년
이화(梨花)에 월백(月白) 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하야 잠 못 들어 하노라.

- 작품해설 : 다정가(多情歌)라고도 한다. 고려 말의 문신 이조년이 봄밤의 정서를 시각적·
참고문헌
참고문헌

디지털향토문화대전
http://changwon.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2200746
네이버 백과사전 및 지식인
http://100.naver.com/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7&docId=52540523&qb=6rSA64+Z67OE6rOhIOybkOusu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
조규익, 고전시가에 나타난 자연소재의 통시적 의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