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

 1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
 2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2
 3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3
 4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4
 5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5
 6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6
 7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7
 8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8
 9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9
 10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0
 11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1
 12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2
 13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3
 14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4
 15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5
 16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6
 17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7
 18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8
 19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19
 20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중등문법 교육론-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5장 단어와 사전편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탐구활동 16
학습방법

키워드
교육과정 및
교과서

해 설
학습 목표
실제 활동
본문내용
학습방법
다음날까지 또는 2일 동안 담장, 빌딩, 벽, 기차 등에 써지거나 그려진 낙서(graffiti)를 찾아보자. 발견한 것을 기록하고, 목록을 수업 시간에 가져오자.
1. 여러분이 찾아온 낙서에는 어느 정도의 단어들이 있는가?
2. 단어 대신에 그림을 이용한 낙서를 찾을 수 있었는가?
3. 사람들은 왜 낙서를 할까?
4. "underground expression, secret code, pranks, vandalism"와 같은 낙서는 무엇을 뜻하는가?
5. 낙서와 그림문자는 어떤 점이 비슷한가? 이것이 언어와 아이디어의 표현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키워드
기호, 함축적 의미
교육과정 및
교과서
9학년 ⑴ 언어의 규칙성, 사회성, 역사성, 기호성, 창조성 등을 이해한다.
해 설

낙서(graffiti)는 그림문자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 그림문자는 어떠한 내용이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인 반면, 낙서는 어떤 의미도 담고 있지 않기도, 때로는 낙서 그 이상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림문자의 경우, 메시지 전달자와 수신자간의 상호교류는 이루어지지 않지만, 메시지 전달 시 수신자가 누구인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넓은 범주의 의사소통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낙서는 어떤가? 낙서도 그림문자처럼 넓은 범주의 의사소통에 포함시킬 수 있을까?
질문 1~2는 글로 이루어지거나 단어를 포함한 낙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낙서는 과연 넓은 범주의 의사소통에 들어갈 수 있을까? 이 경우, 낙서를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낙서를 하였는지의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피티(graffiti)의 경우,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그림에 담아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속에 단어가 포함되어 있던 그렇지 않던 광의의 의사소통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예를 들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 낙서라면? 낙서를 한 사람은 아무런 의도 없이 한 낙서이지만 그 낙서를 본 사람이 그 속에서 의미를 찾아낸다면? 이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문 3~5는 사람들이 왜 낙서를 하고, 낙서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어 하는지, 그림문자와 낙서의 연관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낙서는 그림문자처럼 어떠한 내용이나 의도를 함축적으로 드러낸다고 볼 수 있지만, 사람들은 낙서를 통해 많은 사람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보편적 의미를 찾아낼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림문자는 공통성, 보편성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지고 쓰이지만, 낙서는 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개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렇듯 낙서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개성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낙서를 한다. 또한, 그래피티(graffiti)처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을 가진 낙서가 아닌 이상,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보다는 개인의 감정을 해소할 목적으로, 그러한 내용으로 낙서를 한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로 한 낙서라면 낙서를 한 사람은 낙서의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싶은 것일까? 글로 쓰지 않는 이상, 낙서를 통해 그 의미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기는 힘들텐데 말이다. 이에 대해서도 언어의 상징성과 연관 지어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