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

 1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
 2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2
 3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3
 4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4
 5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5
 6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6
 7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7
 8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8
 9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9
 10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0
 11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1
 12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2
 13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3
 14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4
 15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5
 16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6
 17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7
 18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8
 19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운동생리학] 체육활동과 학습 능력사이의 상관관계(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

3. Physiological Mechanism
3-1. Increase Cerebral Blood Flow
3-2. BDNF

4. Indirect ways and practical example
4-1. Synapse and Neurotranmitter
4-2. Emotional Control
4-3. Reduce Depressive Symptoms
4-4. PE4LIFE

5. Conclusion
5-1.
5-2.
5-3.
6. Reference

7. Appendix



본문내용

3-2. BDNF
이 문제를 설명하기 전에 BDNF의 개념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뇌의 해마에 존재하는 BDNF는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의 약자로 뇌성장인자라 불린다. BDNF는 뇌신경세포의 성장과 분할을 촉진시켜 생존을 돕는 신경영양물질이다. BDNF는 신경세포를 늘리고 뇌에 연접 전위를 높여 뇌세포의 성장을 도모하여 인지능력이나 기억력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파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신호를 전달하는 일에 관여하는데 신호 전달의 기반시설에 해당하는 세포의 회로를 구축하고, 유지하여 신호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을 하면 BDNF의 수치가 높아진다. 그 이유는 근육이 수축·이완할 때마다 혈류를 따라 움직이는 단백질(IGF-1)을 포함한 화학물질이 나와 뇌 속에 전달되는데, IGF-1(인슐린유사성장인자)은 뇌에서 생기는 BDNF를 포함한 여러 화학물질의 생산을 촉진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따라서 이렇게 운동을 통해 생성된 BDNF는 인지능력, 기억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게다가 강한 운동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오래된 신경세포사이의 연접부위에 밀도를 증가시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보를 효율적이고 더 빠르게 전달하는 촉진제 역할을 한다. 꾸준한 운동으로 BDNF가 줄기세포를 충분히 성장하도록 만들고, 지속적인 자극으로 신호전달을 촉진시켜 신경세포를 기능성으로 변모시킨다.

특히 기억과 학습을 관장하는 해마에 BDNF의 반응은 각별하다. 운동이 해마 신경의 전사를 자극시켜 변화를 유도하게 되는데 해마 크기를 늘리면서 새로운 기억이 잘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간다.



참고문헌
- 참 고 문 헌 -

1. McDonald and Hodgdon, 1991, Meta-analysis of aerobic fitness training and mood states

2. F.B. Schuch, M.P. Vasconcelos-Moreno, C. Borowsky, M.P. Fleck, 2011, Exercise and severe depression: Preliminary results of an add-on study

3. Castelli DM, Hillman CH, Buck SM, Erwin HE. Physical fit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ird- and fifth-grade students. J Sport Exercise Psychol. 2007 Aprill29(2):239-52.

4. Etnier, J.L., Nowell, P.M., Landers, D.M. & Sibley, B.A. (2006). A meta-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Brain Research Reviews. 52, 119-130.

5. 『서울학생 7560+운동』 실천을 위한 핸드북, 서울특별시교육청


6. 박병권,『유아의 신체활동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Brain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08

7. 이상현 역(2010), 운동화 신은 뇌, 서울: 북섬

8. 장석암 외, 『복합운동 훈련이 자폐아동의 신경전달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s on Neurotransmitter Concentration in Autistic Children』,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