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1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1
 2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2
 3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3
 4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확인법
3. 원칙법
4. 감동법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 확인법

확인법은 화자가 심증(心證)과 같은 주관적 믿음을 토대로 하여 자신의 지식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독백과 같은 말투에서 많이 쓰인다.

(1) 가. 돈도 있것다, 힘도 있것다, 무슨 걱정이오?
나. 오후에는 눈이 오렷다.

(1)의 예문은 ‘있것다’에서 ‘-것-’, ‘오렷다’에서 ‘-엇-’을 통해 현대국어의 확인법을 알 수 있는 예이다. (1가)는 화자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여 현재의 상태를 확인(다짐)한다. 이를 직설확인법이라고 한다. (1나)는 기상대에서 발표한 정보에 근거를 둔 것이 아니고 구름의 이동이라든가 자기 자신의 어떤 느낌에 근거할 때 사용되므로 다른 경험을 접하면 자신의 믿음이 취소될 수 있다. 이를 추측확인법이라 한다.

(2) 가. 내 本來 求  업다니 오 이 寶藏이 自然히 니를어다
(법화경언해 권2,226장)
나. 王ㅅ 中엣 尊신 王이 업스시니 나라히 威神을 일허다 (월인석보 권10, 9장)
다. 오  얻과라 (월인석보 권7, 9장)

(2)에서는 중세국어의 확인법을 알 수 있다. (2가)의 ‘니를어다’에서 ‘-거-’(>-어-)가 붙은 것은 ‘니를-’이 자동사이기 때문이고, (2나)의 ‘일허다’에서 ‘-어-’가 붙은 것은 ‘잃-’이 타동사이기 때문이다. (가),(나)와 같이 중세국어에는 확인법이 ‘-거-/-어-’로 나타나며, 선어말어미 ‘-오-’와 결합되면 (다)와 같이 ‘-과-, (-가-)’로 교체된다.
확인법은 기본서법의 하나인 추측법과 결합할 수도 있다. 확인법은 추측법의 뒤에 설 수도 있고 앞에 설 수도 있다. 이를 추측확인법이라고 부른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1.
고영근(1997), 표준중세국어 문법론(개정판), 집문당.
―――(1998),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보정판), 탑출판사.
김형주(1996), 우리말 발달사, 세종출판사.
남기심,고영근(1995),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하고 싶은 말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