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

 1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1
 2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2
 3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3
 4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4
 5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5
 6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6
 7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사]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어와 북한의 문법 연구

2. 주시경『국어문법』의 심층구조의 인식과 변형적 처리

3. 통사론에 관한 몇 가지 정리

본문내용




「80 ․ 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 보충 발표





1. 문화어와 북한의 문법 연구

북한이 표준말로 삼고 있는 평양 중심의 말. 북한에서는 1966년 《조선말규범집》을 간행하여 '평양말을 중심으로 하여 노동자 계층에서 쓰는 말'을 '문화어'라 하여 새로운 표준말로 사용하게 하였다. 언어학은 언어의 층위에 따라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으로 하위분류되며, 북한의 문법서에 보이는 어음론, 형태론, 문장론은 각기 일반 언어적인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과 거의 그대로 일치된다. 한동완(1997), 「특집 / 북한의 학문체계 1 : 북한의 국어학 체계 개관」,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그러나 북한의 국어학체계에서는 ‘의미론’의 저술이 단행본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하위분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물론 형태론과 문장론에서 각 형태의 의미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의미론의 중심 논제에 해당하는 어휘장, 성분분석, 그리고 동의 관계, 다의 관계, 이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등과 같은 단어들 간의 의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언어학의 한 중심 하위분야인 의미론은 북한의 국어학 체계에서 완전히 빠져 있음이 확인된다.


2. 주시경『국어문법』의 심층구조의 인식과 변형적 처리

주시경 선생의 예문의 제시방법과 구문의 분석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음미의 대상이 될 만한 것이 많다. “본드(예문) 一, 二 ……”와 같이 번호를 붙여 예문을 들고 도해(圖解)를 하면서 설명을 붙이는 것은 생성문법의 방식을 연상케한다. 종래 주시경의 『국어문법』의 평가에서 크게 부각된 것은 구조문법의 직접 구성 성분 분석(IC분석)방법론의 제시와 심층구조의 인식 및 변형적 처리의 암시였다. 이를 테면 주시경은‘저 사람의 노래하면서 가오’를 ‘저 사람이 노래하다’와 ‘저 사람이 가다’의 두 문장으로 분해하고 다시 같은 주어명사구의 삭제에 의하여 처음 문장으로 응축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그리면서 그 과정을 소상하게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