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

 1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1
 2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2
 3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3
 4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4
 5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5
 6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대사] 책봉호 수수를 통해 본 수, 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 리 말
1. 남북조 말기 책봉호(冊封號) 구성의 변화
2. 수(隋)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
3. 당(唐) 초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
맺 음 말
본문내용
머 리 말

589년 수가 진을 멸망시킴에 따라 중국대륙이 거대한 제국으로 통합되었다. 수를 이은 당은 중국 중심의 일원적(一元的) 국제질서를 구축하려 시도했다. 이런 국제정세 변화와 수· 당의 대외정책은 삼국의 대외정책에 나아가 삼국의 역관계(力關係)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삼국의 역관계나 대외정책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삼국의 내부의 상황뿐 아니라 동아시아 국제정세 변화양상 및 수, 당과의 대외정책을 상호 연계시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왕조가 고구려를 비롯해 삼국에 수여하던 책봉호가 6세기 중반 이래 새롭게 변모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과 수·당이 수수했던 책봉호를 분석하여 수·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책을 고찰하려고 한다.

1. 남북조 말기 책봉호(冊封號) 구성의 변화

4세기 이후 동아시아에는 중국 중심의 일원적 국제질서가 붕괴되고, 다원적(多元的)·중층적(中層的)인 국제질서가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책봉호 구성도 황제와의 의례적 서례질서를 나타내던 작호(爵號)는 부차적 요소로 전락하고, 군사권의 위상을 규정한 지절호(持節號)와 장군호(將軍號), 지배 범위를 나타내는 도독제군사호(都督諸軍事號)와 지방관명 등이 핵심 요소로 부상했다. 이러한 책봉호는 주변 제국의 현실적 지배력을 인정해준다는 측면이 강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