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

 1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1
 2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2
 3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3
 4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4
 5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5
 6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문학 연구를 위한 도전으로서의 문화론

1. 문화론의 위상

2. 문화론과 1990년대 국문학 연구

(1) 근대 문학의 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탐색

(2) 문학의 물질적 조건을 문제 삼는 미시적 연구

(3) 탈정전적 경향의 대중문학 연구

(4) 방법론적 모색으로서의 고전문학 연구

3. 문턱 위에 선 진행형의 담론 - 문화론의 가능성과 한계

1) 1990년대의 문화론의 가능성, 의의

2) 문화론의 한계

3) 위기 담론으로서의 문화론

4. 문화 연구에서 문화론적 문학 연구로

1) 후기구조주의

2) 버밍엄 학파의 문화론 (리처드 호가트, 레이몬드 윌리암즈, 톰슨 등)

3) 문화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Ⅱ. 대중가요와 섹슈얼리티

1. 문학(화) 텍스트로서의 대중음악의 섹슈얼리티

2. 대중가요의 섹슈얼리티와 상업적 계몽주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문학의 물질적 조건을 문제 삼는 미시적 연구
기존의 국문학 연구는 근대, 민족, 계급 등 거대한 주제와 특정한 작가와 작품에 집중하고 있었다. 1990년대 국문학 연구에는 이러한 거대담론에서 벗어나 패션, 인쇄소, 서점, 출판사, 백화점, 책 광고, 풍속 등과 같이 작고 일상적인 것에 주목하는 미시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풍속과 일상 등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을 통해서 동시대의 구체적 실상에 다가서려는 시도는 해당 시기의 문학사적 상황을 복원시켜 텍스트와 컨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기존의 분석방법이 아니라도 충분히 문학 텍스트를 읽어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탈정전적 경향의 대중문학 연구
대중문학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1990년대 이전에도 있었으나 대체로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킨 몇몇 작품에 한정되어 있었고, 대중문학의 저급성·상업성 등의 비판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문화론적 연구 관점에서 대중문학에 대한 접근은, 모든 문학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구성되는 것에 불과하며 텍스트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포스트 모던한 주장을 바탕으로 종래의 본격문학/대중문학이라는 이분법적 인식에 대항하는 것이었다.

(4) 방법론적 모색으로서의 고전문학 연구
타 국문학 세부 전공에 비해 고전문학계에서의 문화 연구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엄숙했다. 그러나 현재 고전문학계가 겪고 있는 학문적 위축과 극심한 침체를 타개하려는 방편으로 고전문학 연구 또한 특정 문헌과 텍스트만을 다루는 재래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언어문화·예술문화·정신문화·생활문화 등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조성면(2002),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소명출판.
마르쿠스 파우저, 김연순 옮김(2008), 『문화학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원용진(2010), 『(새로 쓴)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천정환(2007),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 『상허학보』제 19집 2007,2.
상허학회.
박종균(2001), 「대중문화의 섹슈얼리티 논쟁과 개방된 사회」, 『기독교문화연구 제 6집』
,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원.